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역관광추진조직(DMO)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유형화 연구 - 정책설계자, 공급자, 참여자를 중심으로

A typology of DMO stakeholders’ perceptions of DMO’s role: Focusing on policy designers, suppliers, and participants

  • 114
관광학연구 제48권 제8호.jpg

관광에 대한 대내외적 관심도가 증가하고, 여행의 일상화가 보편화되면서 지역관광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인구감소지역 해결 방안으로 생활인구 증대를 통한 지역관광활성화가 관심을 끌면서 지역관광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지원, 관광자 유치, 관광목적지를 관리 경영할 수 있는 중간조직, DMO 설립 운영이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별로 확산되고 있는 DMO를 위해 DMO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정책설계자, 공급자, 참여자를 중심으로 DMO의 인식을 살펴보고, 유형을 찾아 한국형 DMO의 방향과 발전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적 현상에 대한 개인의 견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방법으로 인간의 주관성을 측정하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DMO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 유형의 특징을 ‘지역관광 리더형’, ‘거버넌스 중시형’, ‘마케팅 중시형’, ‘육성 지원형’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DMO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합의를 이끄는 시간이 필요하며, 지역별 DMO의 차별성 있는 포지셔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지역관광추진조직 DMO는 지역관광을 경영 또는 관리하는 리더로, 거버넌스 중심의 중간지원조직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형 DMO의 방향을 설정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DMO 유형을 찾아 포지셔닝하고 육성하는 실증적 자료로 실무적 활용을 기대해 본다.

As the public interest in tourism grows and travel becomes more common, local tourism is also gaining importance. In particular, revitalizing local tourism by attracting more living population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solution to the depopulation issue, and resultingly, policy interest and support for local tourism have also become greater. Now there are more intermediate organizations and destination management organizations (DMOs) that focus on attracting tourists and managing tourist destinations. Focusing on policy designers, suppliers, and DMO participants, this study examines and categorizes the DMO stakeholders' perceptions of DMO's role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and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DMOs. To this end, Q-methodology, a type of factor analysis, that can objectively capture individuals' subjective views on social phenomena, was used. Results suggested that based on stakeholders' perceptions of DMO's functions and features, DMOs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local tourism leader type,' ‘governance-oriented type,' ‘marketing-oriented type,' and ‘nurture and support type., It was also found that DMOs need time to establish governance and consensus and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the positioning of DMOs by region.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a DMO is not only a leader who manages local tourism but also a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focusing on governance. The empirical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et the practical directions of Korean-style DMOs and to identify, position, and foster the DMO typ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egion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