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한국학 전공자들의 진로 탐색 연구: 한국 관련 업무 종사자 및 한국학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Career Exploration of Korean Studies Majors in Taiwan: With A Focus on Narrative Inquiry Targeting Those Who Work in Korean-intensive Environments and Graduate Students Studying Korea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4권 22호
-
2024.11441 - 457 (17 pages)
-
DOI : 10.22251/jlcci.2024.24.22.441
- 72

목적 본 연구는 대만에서 한국학을 전공한 졸업생들의 진로 탐색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전공자들의 한국어 학습 과정 및 대만의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을 고찰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들은 대만 한국학 전공자들로 현재 한국과 관련된 업종에 종사하거나 이를 계획하고 있는 한국학 전공의 대학원생 4명이다. 2024년 2월 설문조사를 시작으로 약 6개월간 집중 인터뷰 총 10회(개인 인터뷰 각각 2회, 그룹포커스인터뷰 총 2회)를 통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오랜 한국어 학습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어린 시절 부모님과 함께 한국 드라마 시청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접촉했으며 청소년기에는 자발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학습하였다. 대학에서는 한국학을 전공 혹은 부전공으로 삼아 한국학 관련 업무를 진로 방향으로 잡았는데 이때 참여한 통역 등의 활동이 이들이 진로를 탐색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앞으로도 계속 한국학 관련 업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의지와 목표가 뚜렷하였고 한국인들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적극적으로 찾아갔다. 결론 이에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인 대만 한국학 전공자들이 어린 시절부터 꾸준히 접한 한국어, 한국문화가 이들의 인간적, 학문적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현재 한국학 전문가로 자리매김 하는 데에 발판으로 작용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대만에 더 많은 한국학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만 내 한국어 및 한국학 과정의 발전과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students who majored in Korean Studies in Taiwan, thereby examining the students’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as well as the trajec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aiwa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four Taiwanese Korean Studies maj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fields related to Korea or are planning to do so as graduate students in Korean Stud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narrative inquiry, beginning with a survey in February 2024 and involving a total of 10 focused interviews (two individual interviews per participant and two group focus interviews) over approximately six months. Results The investigation into the subjects' history of Korean language learning revealed that they were first exposed to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y exposing Korean mass culture during childhood. They voluntarily studied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uring adolescence, and in college, they majored or minored in Korean Studie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such as translating to or from Korean played a crucial role in navigating their careers, guiding them towards occupations related to Korean Studies. Furthermore, the subjects displayed strong will and had clearly defined goals to continue working in occupations related to Korean Studies and actively sought direct interactions with Koreans. Conclus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which the Taiwanese Korean Studies majors have consistently engaged with since childhood,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ir personal and academic growth, leading them to establish themselves as Korean Studies experts.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programs within Taiwan is anticipated to foster more Korean Studies professionals in the country.
Ⅰ. 서론
Ⅱ. 대만에서의 한국어교육
Ⅲ. 연구 방법
Ⅳ. 학습자 내러티브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