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객 경험을 통해 본 이머시브 시어터의 공간적 특성 연구: 상하이 ‘Sleep No More’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Immersive Theater Through Audience Experience: Focusing on ‘Sleep No More’ in Shanghai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
- 제61호
- : KCI등재
- 2024.11
- 255 - 277 (23 pages)
본 연구는 중국 상하이에서 운영되고 있는 이머시브 시어터 ‘Sleep No More’의 공간적 특성을 관객의 관람 경험을 통해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헤르만 슈미츠의 공간론을 분석틀로 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 으며, 15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공간론의 4가지 개념인 장소 공간, 방향 공간, 감정 공간, 확장 공간을 토대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소 공간으로서 이머시브 시어터인 ‘Sleep No More’는 물리적 측면에서 새로운 극장 공간으로서 실천적 장소를 구현하며, 진실성, 파편성, 주체성의 특성이 분석되었다. 둘째, 방향 공간은 신체, 행동 및 감정의 에너지와 질감 측면에서 다양성, 단절성, 관객의 주관적 능동성의 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감정 공간은 극장 내 관객의 차별화된 몰입성을 구현하며, 이와 상반되는 혼동성과 이 둘을 연결하는 상호작용적 특성이 도출되었다. 넷째, 확장 공간은 설치물과 기술의 측면에서 전통성과 제한성의 특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머시브 시어터는 전통적인 극장의 관례를 벗어나, 공간에 대한 새로운 실험과 도전을 통해 진화해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머시브 시어터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논의하고 분석함으로써, 관객의 극장 공간 경험에 대한 실증적 의미와 함의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mmersive theater Sleep No More in Shanghai, China, through the lens of audience experiences. Employing Hermann Schmitz's spatial theory as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research adopts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incorpora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5 participants. The analysis is grounded in Schmitz's four spatial concepts yielding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as place-space, Sleep No More manifests as a practical locus, redefining the theater as a novel spatial entity. It exhibits characteristics of authenticity, fragmentation, and subjectivity. Second, directional-space emphasizes the diversity, discontinuity, and subjective agency of the audience through the energy and texture of bodily actions, behaviors, and emotions. Third, emotional-space highlights the differentiated immersion of the audience within the theater while simultaneously revealing contrasting confusion and an interactive quality bridging these experiences. Fourth, extended-space, shaped by installations and technological elements, demonstrates features of traditionality and constraint. In conclusion, the immersive theater challenges conventional theatrical norms, evolving through innovative spatial experiments and practice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insights and implications regarding the audience's spati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immersive theater, offering a detailed analysis of Sleep No More as a specific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