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K-pop 음악에서 사용된 샘플링 기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0년 이후 데뷔한 4대 기획사 소속 아이돌 그룹 및 솔로 아티스트의 곡으로, 영국의 샘플링 음악 데이터베이스 사이트인 후샘플드(Whosampled.com)에 등록된 자료를 참조하여 선정하였다. 샘플링 기법은 재료(material), 기법(technique), 내용(content)적인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양한 샘플링 기법이 사용되었으나, 샘플의 길이, 편집 기법, 완성곡 내 샘플 부분의 전체 비중, 장르적 변화 등의 기준에서 특정 기법들이 두드러지게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BTS의 음악에서의 샘플링 기법이 두드러졌으며, 힙합 장르와 샘플링 기법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특정 기간의 클래식 음악 샘플링 유행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음원 샘플링 기법이 아이돌 음악에서 팝, 힙합 등의 장르적 융합의 도구로서, 더 나아가 음악의 서사적인 부분으로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케이팝 장르에서 어떤 흐름으로 샘플링이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케이팝에 사용되는 샘플링의 과거와 현재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sampling techniques used in K-pop music. The songs of 3rd generation idol groups and solo artists from the four Korean major agencies were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data registered on whosampled.com, a UK-based sampling music database site. Sampling techniques were analysed by dividing them into material, technique, and content elements. The result showed that various sampling techniques were used, but certain techniques stood out in terms of sample length, editing techniques, overall proportion of sample parts in the song, and genre change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sampling techniques in BTS's music were particularly prominent, correlated sampling techniques with the hip-hop genre, and identified the prevalence of classical music sampling in certain year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music sampling is used as a tool for genre convergence between pop and hip-hop in idol music, and furthermore, music sampling is used as a narrative part of the album.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analyses how music sampling is being used in the K-pop genre, and it is significant to examine the past and present aspects of music sampling in K-pop.
1. 서론
2. 본론
3.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