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선수의 자기관리 및 정신력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Management and Mental Toughness on Golfers’ Perceived performance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5권 제4호
-
2024.11111 - 124 (14 pages)
-
DOI : 10.37408/kjls.2024.15.4.111
- 11

본 연구는 골프선수들의 자기관리 전략, 정신력, 그리고 인지된 경기력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조사하였다. 한국골프협회에 등록된 학생선수, 아마추어, 프로선수 총 131명에게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 하였다. 자기관리, 정신력, 그리고 인지된 경기력을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변수들의 측정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관리는 정신력과인지된 경기력 모두에 대해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력은 자기관리와 인지된경기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본 연구는 스포츠심리학 분야에서 자기관리 전략이 실제 경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훈련 및 코칭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통합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자기관리 기술을 향상하는 것이 선수의 전반적인 성과와 심리적 안정성에 기여할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스포츠 분야와 경쟁 수준에서 자기관리 전략의 구체적인 영향을 추가로탐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management strategies, mental toughness, and perceived performance among golf play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from 131 registered student athletes, amateurs, and professional players from the Korea Golf Association. To measure self-management, mental toughness, and perceived performance, the survey tools used in previous studies were modified and refined to align with the goals of this research.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lf-management significantly positively influenced both mental toughness and perceived performance. Furthermore, mental tough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with the mediation effect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act of self-management strategies on actual performance outcomes in sports psychology and highlights the need for their integration into training and coaching programs. Additionally, it shows that improving self-management skills can contribute to overall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explore the specific effects of self-management strategies across different sports disciplines and competitive levels.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