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향력 있는 도시이미지인자로서 랜드마크 명명의 세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시애틀 스페이스니들과 서울 엔서울타워 명명에 대한 시민 의견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Landmark Naming Refinement as an Influential Factor for City Image : Opinions of Citizens on the Seattle Space Needle and N Seoul Tower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지식과 교양
- 제16호
-
2024.1149 - 89 (41 pages)
-
DOI : 10.54698/kl.2024.16.49
- 28

본 논의는 영향력이 있는 도시이미지 인자로서 랜드마크 명명의 세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그런 의미에서 도시이미지인자 중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랜드마크의 명명이란 내용어보다 기능어로의 세련성을 추구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선행 논의들은 랜드마크 자체만으로는 풍족했지만 명명 즉, 네이밍에 대한 논의는 거의 부재했다. 그런 의미에서 본 논의는 랜드마크의 명명의 영향력을 도시이미지 이론에 입각하여, 브랜드 네이밍 이론에 입각하여, 기호학 이론에 입각하여 명명의 세련성으로 재정의하였다. 실질적 논의는 각각의 내용어와 기능어로 명명된 랜드마크 보유의 두 도시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면접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세련성이란 기능어로서 사전성에 더 가까운 명명이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랜드마크 호명으로 동경의 기대성을 충분히 담을 명명의 고민 기간의 보유로 해석해 본다. 결국 도시의 영향력 있는 도시이미지인자로서 랜드마크의 명명의 세련성이란 마치 예술작품 명의 호명만으로 실제 작품을 감상하고자 하는 여운을 남기는 기능어로 고민하는 것이다.
This discussion argues that the naming of landmarks, the most influential among city image factors, should pursue refinement in function words rather than content words. Previous studies were rich regarding the landmark itself, but on naming were almost absent. In that sense, this discussion redefined the influence of landmark naming as city image theory, brand naming theory, and semiotic theory as means of refinement. The substantive discussion was conducted by collecting citizens’ opinions in two cities with landmarks each named by content word and function word. As a result, it was interpreted that the refinement, as a function word, should use a name closer to beforehand. The reason for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tention of a period of time to think about naming a landmark to sufficiently get the expectation of longing for it. In the end, the refinement of naming landmarks as an influential city image factor of the city is to be considered as a function word that leaves a longing feeling of wanting to watch the actual work of art just by calling the name of the work of art.
1. 문제제기 및 연구구성
2. 이론적 논의
3. 실질적 논의
4. 결론 및 향후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