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889년 이후 프로이센 일반 학교와 함께 주로 프로이센 사관학교의 교육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고 이것에 대하여 빌헬름 2세가 어떠한 역할을 하였으며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를 통하여 케네디의 견해뿐만 아니라 벨러가 주장한 그림자 황제론의 곡직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것처럼 빌헬름 2세는 사회주의의 확대를 저지하고 과도한 교육을 완화하기 위하여 프로이센 교육부와 사관학교 감독기관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초·중등학교와 사관학교의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특히 사범학교의 교육 변화와 사관학교 교육시수의 변화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었다. 심지어 사관학교의 새로운 교과서 편찬은 물론 독일어·역사 교육내용의 변화도 자신이 원했던 바대로 이룩하였다. 이상의 연구에 근거할 때 빌헬름 2세가 ‘개인 지배’를 달성하지 못하였고 명목적인 최고 결정권자로서 실질적으로 제국의 정책을 결정한 것은 아니었다는, 즉 “권위적인 다원 지배의 익명의 세력과 결합한 전통적인 소수의 독재자(Oligarchien)가 스탬프를 찍었다”라는 벨러의 견해는 과도한 일반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때때로” 빌헬름 2세가 “인사 정책”을 활용하여 영향력을 행사한 “영향력이 큰 인물”이었지만 “중요한 결정 과정에 대하여 다른 행위자와 나란히 한 명의 행위자로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라는 벨러의 주장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오히려 개인 지배를 애호한 정책 결정 기구의 중심이면서 최종 결정권자인 빌헬름 2세의 “역할과 영향력이” “비교적 훨씬 더 큰 것이었다”라는 케네디의 견해가 훨씬 더 올바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hat changes occurred in the education of Prussian regular schools and Prussian military academies after 1889, and what kind of role Wilhelm II played in it and how much influence he exercised. Through this, I tried to verify the correctness or wrongness of Kennedy's opinion and the theory of shadow emperor claimed by Wehler. A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prevent the expansion of socialism and mitigate excessive education, Wilhelm II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he Pruss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supervisory body of Prussian military academies, and changed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military academies, especially led not only the educational changes in the Normal School, but also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educational hours in the military academies in the direction he wanted. Even not only the compilation of new textbooks at the military academies but also changes in the contents of German and history education were accomplished as he wanted. Based on the above studies, it is clear that Wehler's view that Wilhelm II did not achieve personal rule and as a nominal supreme decision maker, he did not actually decide the policy of the empire, that is, traditional oligarchies combined with anonymous forces exercising authoritarian and pluralistic rule stamped it is an overgeneralization. In addition, Wehler's argument that Wilhelm II was “at times” an “influential person” who used “personnel policy” to exert influence, but that he “exercised influence as a single actor alongside other actors on important decision-making processes” is less persuasive. On the contrary, Kennedy's view that Wilhelm II, the center of the policy-making body and the final decision-maker that favored individual rule, “had a comparatively greater role and influence” seems far more correct.
Ⅰ. 서 론
Ⅱ. 1888년 이전 프로이센 사관학교의 교육과정 변화
Ⅲ. 빌헬름 2세 집권기 프로이센 사관학교의 교육과정 변화
Ⅳ. 프로이센 사관학교의 독일어·역사 교육내용 변화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