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독일연구 Vol.55.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후 독일 재건의 군사(軍史)적 고찰: 7월 20일 군부저항과 연방군

A Military-Historical Study of Post-War German Reconstruction: The July 20th Military Resistance and the Bundeswehr

DOI : 10.17995/kjgs.2024.2.55.69
  • 8

이 논문은 독일 현대사의 가장 중요한 관심 대상인 1945년 이후 과거청산과 새로운 출발을 ‘군사’의 관점에서 조명한다.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으로 무장 해제된 독일은 냉전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승전 연합국과 독일의 필요에 따라 재무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제3제국의 군대였던 국방군과의 인적 관련성에서 아예 다른 대안이 없던 상황은 독일의 군사적 새로운 출발을 제한했다. 국방군과의 인적 연속성이 전제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독일의 새 군대는 군국주의적 과거의 역사에서 벗어나 민주주의 사회에 통합된 군대로 거듭나야 했다. ‘국가 안의 국가’가 아니라 ‘정치의 우위’ 아래 있는 군대여야 했다. 이것을 위한 새로운 시도의 토대를 독일 ‘군사’는 이미 가지고 있었다. 바로 나치에 저항하여 ‘다른’ 독일을 추구했던 1944년 7월 20일의 저항이다. 더구나 그것은 군부 내에서의 저항이었다. 그러므로 독일의 새 군대는 자체적으로 새롭게 출발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국방군과의 인적 연속성이 청산되지 않은 채 민주주의적 군대를 지향하는 양가적인 모습이 전후 독일 군대가 처한 상황이었다. 1955년에 창설된 연방군이 이러한 조건에서 어떠한 발전으로 나아갔는지를 이 논문은 7월 20일 저항의 수용사 관점에서 살핀다. 그것은 연방군이 옛 전통과 새 전통 사이에서 서서히 발전적인 경향으로 나아가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post-war reconciliation and new beginnings in Germany after 1945,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in modern Germa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military history. Disarmed after the defeat in World War II, Germany began rearmament in response to the deepening Cold War and the needs of the Allied powers and Germany. However, the lack of alternative options in terms of personnel continuity with the Wehrmacht, the military of the Third Reich, limited Germany's new military departure. The premise was that there had to be some form of personnel continuity with the defense forces. The new German military had to transform from a military of the Nazi regime to an integrated military in a democratic society. It had to be a military subordinate to politics, rather than being a “state within a state.” The foundation for this new attempt was already in place in German military history. It was the resistance that pursued a “different” Germany by defying the Nazis on July 20, 1944. Moreover, it was a resistance within the military leadership. Therefore, the new German military had a basis to begin anew on its own. The situation of the post-war German military was characterized by a dualistic approach, aiming for a democratic military while maintaining personnel continuity with the defense force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Bundeswehr, established in 1955, developed under these condi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ceptance of the July 20th resistance. It can be seen as a gradual process of development in which the Bundeswehr moved towards a progressive direction between the old and new traditions.

Ⅰ. 머리말

Ⅱ. 서독의 재무장정책

Ⅲ. 연방군 창설을 위한 준비

Ⅳ. 새로운 전통의 수립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