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상고사학보 제12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남강유역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의 변동 양상과 그 의미

The Settlement Pattern Changes of Nam-Gang River Area in the Late Bronze Age

DOI : 10.18040/sgs.2024.126.59
  • 73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의 등장은 수도작으로의 전환, 잉여 발생, 가구 분화 등 다양한 사회복합 화를 의미하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는 호서지역의 문화적 양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영남지역의 연구들은 주로 송국리문화의 유입경로와 등장 형식에 대한 논의가 중심이 되었다. 그 결과 영남지역의 취락변동 양상과 연결될 수 있는 사회복합화과정에 대한 설명과 다른 지역과 연계될 수 있는 설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영남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송국리문화가 유입된 것으로 보고 있는 남강유역의 취락변동 양상에 주목하여 대안적 편년안을 제시하고, 사회복합화 과정과 연결될 수 있 는 설명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남강유역의 후기 주거지를 형식분류하고, 공반되는 토기와 중복관계, 방사성탄소연대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주거지와 공반 토기의 양상에서는 형식별 단계를 설정하여 시기를 구분할 정도의 변화 양상은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남강 본류역에서의 주거지 중복관계에서도 형식별 단계 구분이 어렵다. 다만, 남강 지류역에서 주거지 중복관계와 방사성탄소연대 자료를 통해서는 방형→원형주거지의 선 후관계는 확인되고 있어 외곽지역에서 등장 시점의 차이는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 과를 통해 남강유역의 후기를 I기와 II기로 구분하여 후기 I기 방형 주거지 단독기와 II기 방형+원 형주거지 병행기를 설정하였다. GIS 분석을 통해 후기I기→II기의 중심지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후기 I기 대평리 등 남강 본류역에 위치한 취락들에서 중심지가 형성되며, 후기 II기에는 남강 지류역으로 중심지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후기 I기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중심지를 형성하던 남강 본류역에서 송 국리문화의 등장에 따라 방형 주거지 중심의 대규모 취락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진주 대평리 유적을 중심으로 평거동, 초전동, 초장동, 산청 하촌리, 신연리 등 남강 본류역과 인접하여 취락이 형성된다. 후기 II기 들어서는 원형 주거지가 새롭게 등장함에 따라 남강 본류역 중심의 후기 I기 취락은 더 크게 확장되며, 남강 지류역으로도 취락이 확산된다. 이러한 확산과정 속에서 남강유역의 후기 취락 체계도 보다 확장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후기 I기→II기로 변화과정은 평면형태별 시기구분에 따른 단절적인 양상이 아닌 연결적인 과정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취락체계의 확장에 따른 사회복합화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changing the settlement patterns of the Late Bronze Age around Nam-gang River in South Korea. Songguk-ri culture is an important criterion to classify the Early and Late Bronze Age because it includes the whole change of material cultures like houses and potteries. So many discussions about the settlement changes with social complexity have been made. However, these discussions have mainly been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not in the southeastern region. In the southeastern region, it has mainly focused on the typological changes so the settlement changes and various possibilities of social complexity have not clearly been presented. This paper tries to clarify settlement chang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especially Nam-gang River Area where Songguk-ri culture started very early. So, it comprehensively analyses the types of the Songguk-ri type houses, associated potteries in the houses, overlapping relationships of the houses and C14 data. The result of the analyses, most square-shaped and circle-shaped houses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internal type, an inner pithole with outer postholes. And the associated potteries in each house types are analyzed that any associated pottery types cannot be specified with any house types. But if the reg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main stream and the branches, the overlapped houses and C-14 dating data show that the circle-shaped house can occur after square-shaped houses in the branches. So the Late Bronze Age in Nam-gang River area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I-stage is the single stage occurring only square-shaped houses, and the II-stage is the parallel stage which square- shaped houses and circle-shaped houses occurring together. With GIS analysis, square-shaped houses are mainly settled along the main stream area in the I-stage. Then, circle-shaped houses started to settle in the outskirt area of the settlement in the main stream area and to spread in the new settlements in the branches in the II-stage. This resul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to explain the dramatic changes of settlements and population. Instead, this study shows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 and its system. In the second stage of the Late Bronze Age, as the settlement is spread to the branches, the settlement system and social complexity can be advanced simultaneously.

Ⅰ. 서론

Ⅱ. 남강유역 청동기시대 취락 연구 검토

Ⅲ. 남강유역 후기 취락의 시간적 위치

Ⅳ. 남강유역 후기 취락의 공간적 분포

Ⅴ. 남강유역 후기 취락의 변동 양상과 그 의미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