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상고사학보 제12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총기 신라 사회의 아동성 인식 연구: 경산 임당 유적과 김해 예안리 고분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hildhoodness in Silla Society during the High-mound Period

DOI : 10.18040/sgs.2024.126.119
  • 67

본고의 목적은 고총기 신라 고분의 아동묘를 대상으로 유물과 유구에서 아동성이 어떠한 방식 으로 구축되었는지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통해, 장례 맥락 내에서 아동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고 그것이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지 고찰하는 데 있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 아동성이 다차원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개념인 점을 파악하고, 문헌사 연구를 종합하여 당시 성인과 아동의 구분이 15세였던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인골 자료를 토대로 일정 수 이상의 아동묘와 성인묘를 구분할 수 있는 임당 A, B, G 지구와 김해 예안리의 삼국시대 분묘 약 110기와 부장품 약 1,200점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그간 옹관묘가 아동묘를 대표하는 묘제로 여겨졌으나, 실제로는 석곽묘, 목곽묘 등 성인과 동등한 묘제에 묻힌 아동이 더 많다는 점이 확인된다. 따라서 옹관묘는 아동 사망자 중 극소수만이 묻힌 묘제로 볼 수 있는데 현재 그 선택의 기준은 알 수 없다. 성인 묘제에 묻힌 아동은 매장부 장축 길이 2m를 기준으로 성인묘와 구분할 수 있지만, 대략 절반 가량의 아동이 2m 이상의 무덤에 묻힌 것으로 나타나, 인골 자료가 없다면 유구의 규모와 부장품의 내용과 수량에서 성인묘와 구분이 불가능하며, 이는 종래에 암묵적으로 성인묘로 간주된 무덤 중 상당수가 아동묘인 것을 의미한다. 옹관묘를 포함하여 아동묘는 전체 고분군의 약 15~34%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나 이는 당시의 높은 아동 사망률을 고려할 때 상당히 적은 수치이다. 현재 자료를 토대로 보면, 최소 50%에서 최대 80%의 아동 사망자가 고고학적으로 감지되지 않는 방식으로 처리된 것으로 추산된다. 결과적으로 현존하는 무덤자료에서 성인과 배타적으로 구별되는 방식의 아동성 표현은 크게 감지되지 않는다. 아동성의 표현이 크게 강조되지 않은 이유를 아동성이 무시 혹은 간과된 결과라 보기는 어렵고, 일부 아동의 경우 마치 ‘작은 성인’과 같이 취급된 점에서 아동의 성원권을 인정하고 성인에 준하는 방식으로 매장된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hildhoodness was constructed through the burial artifacts and structures in Silla tombs of the High-mound Tomb Period,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is perception of children in Silla society. Through theoretical review, it was recognized that childhood can be defined as a multidimensional concept, and a comprehensive study of historical literature indicat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adults and children was considered to be around the age of 15. Based on osteological data,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approximately 110 tombs and around 1,200 burial item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focusing on the Imdang A, B, G districts and the Yaean-ri site in Gimhae, where a certain number of children's and adults' tombs could be distinguish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lthough jar-coffin tombs have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representative of children's burials, in reality, more children were interred in tomb types such as stone-lined and wooden-chamber tombs, which were also used for adults. While children buried in these tombs could be distinguished from adults by the long-axis length of the burial chamber (set at 2m), about half of the children were buried in tombs longer than 2m. Without osteological evidence, distinguishing between adult and child tombs based on the scale of the burial structure, contents, and quantity of burial items alone may be challenging. It is estimated that children's tombs, including jar-coffin tombs, constituted about 15-34% of the total tombs. However, considering the high child mortality rate at the time, this proportion is relatively low, and most infants under the age of one year appear to have been handled in ways that have not been detected in current findings. Therefore, jar-coffin tombs can be seen as a burial type for only a small portion of child deaths, although the criteria for selection remain unknown. Ultimately, jar-coffin tombs do not represent the child population, a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exclusive characteristics unique to children's burials within the broader funerary practices. The reason why the expression of childhood is not prominently emphasized in the extant tomb data is not necessarily indicative of the neglect of childhoodness. Rather, some children were treated as ‘small adults,’ implying that their social membership was acknowledged, and they were interred in a manner equivalent to that of adults.

Ⅰ. 서론

Ⅱ. 아동의 정의와 인식

Ⅲ. 고총기 아동묘의 특징과 구성

Ⅳ. 고총기 신라의 아동묘와 아동성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