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자치경찰시대가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현행 자치경찰제도는 운영 주체의 의견수렴을 포함한 준비과정이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으며, 일원적 제도로 인한 한계에 대한 비판 또한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경찰활동은 그 형식과 무관하게 본연의 목적과 기능은 달라지지 않으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인 경찰활동의 수행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동안 전국 18개의 자치경찰위원회는 각각의 지역 특성과 주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치안정책을 개발하고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 연구는 자치경찰제도 정착의 과도기적 상황에서 주민의 인식분석을 통해 자치경찰제도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경찰활동 만족도, 지역안전도 수준, 자치경찰제 우호도 모두 자치경찰제도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변수의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했을 때, 경찰활동 만족도가 자치경찰제도 효과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July 2021, the era of autonomous police began in earnest. However, the current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been criticized for its lack of preparation, including collecting opinions from the operating entities, and there are still criticisms about the limitations of the unitary system. However, regardless of the form, the purpose and function of police activities remain the same, and they must be able to ensure effective police activities under any circumstances. In the meantime, 18 autonomous police committees nationwide have been working to develop policing policies and provide policing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their respective localities and resident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residents' perceptions in the transitional situ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police activity satisfaction, local safety level, and favorability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ll have an impact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when comparing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police activity satisfaction has the highest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