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청 산하 31개 경찰서를 대상으로 Network SBM-DEA 모델을 활용하여 전통적 경찰활동과 지역사회 경찰활동 간 자원 투입 및 성과의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네 가지 주요 Network SBM-DEA 모델을 적용하여 각 경찰서의 자원 활용 효율성과 성과를 평가하였으며, 고정수익(CRS)과 변동수익(VRS) 모델 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자원 배분의 유연성과 규모에 따른 최적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통적 경찰활동의 산출물이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투입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반영하여, 각 활동 간의 상호의존적 관계가 경찰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경찰 자원의 최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치안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자원 배분의 효율성 증대, 경찰서 규모와 지역 특성에 맞춘 유연한 자원 조정, 그리고 성과 극대화를 위한 맞춤형 관리 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장기적인 데이터 분석 및 정성적 요소를 포함한 다차원적 접근을 통해 경찰 조직의 효율성을 심도 있게 평가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resource inputs and performance outcomes of traditional and community policing activities in 31 police station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using the Network SBM-DEA model. The research applied four key Network SBM-DEA model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resource utilization and performance of each police station,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Constant Returns to Scale (CRS) and Variable Returns to Scale (VRS) models to identify the flexibility and optimization potential based on the scale of operations. Particularly, by reflecting the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outputs of traditional policing serve as inputs for community policing, this study quantitatively assessed the impact of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between activities on police performance. Th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the optimal utilization of police resources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public safety services.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enhancing resource allocation efficiency, flexible resource adjustments tailored to police station siz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management strategies for performance maximiz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for in-depth evaluations of police efficiency through long-term data analysis and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hat includes qualitative facto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