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소방안전연구 제5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화재·피난시뮬레이션에 의한 대형마트의 피난안전성 향상방안

Measures to Improve Evacuation Safety of Large Supermarkets through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DOI : 10.54713/JFRI.2024.5.14
  • 10

이 연구는 현재 운영중인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산정된 거주가능시간과 피난소요시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피난 안전성 향상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량의 가연물을 배치하는 대형마트의 특성을 감안하여 출입구 등과의 거리에 따른 화재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ASET이 49초의 차이가 발생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판매대와 판매대 사이에 설치하는 중간판매대와 쇼핑용 카트의 크기와 관련한 관전 규정이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RSET이 최대 468.3초에서 최소 320.8초로 147.5초라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번 실험 대상으로 선정한 대형마트는 피난소요시간이 거주가능시간을 초과하여 피난안전성 확보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대형마트의 피난안전성 향상을 위해 판매대와 판매대 사이에 설치하는 중간판매대와 쇼핑용 카트의 크기, 대형마트 매장 내 상품배치 등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roposes ways to improve evacuation safe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habitable and evacuation times obtained by conducting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s for large supermarke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arge supermarkets with a large number of combustibles, a fire simul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entrance. The result was a difference in the available safe escape time of 49 s. An evacuation simulation, considering that there were no regulations on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sales stand and shopping carts placed between the sales counters, show that the required safe escape time has a large difference of 147.5 s, from a maximum of 468.3 s to a minimum of 320.8 s. The large supermarket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experiment failed to secure evacuation safety because the evacuation time exceeded the habitable time. To improve the evacuation safety of large supermarkets, discussions are needed on the size of intermediate sales stands, shopping carts placed between sales counters, and the placement of products.

Ⅰ. 서론

Ⅱ. 본문

Ⅲ. 결과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