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단위 학교 실습형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소방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실습형 안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30명과 이론형 안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 30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소방안전의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습형 안전교육이 이론형 안전교육보다 소방안전의식의 향상에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안전의식의 하위영역인 화재예방, 화재대비, 화재직접대응 영역이 향상되었으며, 39일 후에도 그 효과는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형 안전교육도 화재예방 영역에서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으나, 38일 후에 그 효과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위 학교에서 실습형 안전교육 실시의 필요성과 확대를 강조하며, 실습형 안전교육의 강화를 위한 정책적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ands-on safety education program in a unit school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fire-safety awareness among high-school students. Sixty first-year high-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Korea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30 experiment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hands-on safety education program and 30 contr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theoretical safety education program. The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students’ fire-safety awareness through pre-, post-, and follow-up tests and shows that hands-on safety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oretical safety education in improving fire-safety awareness. In particular, the subdomains of fire-safety awareness, such as fire prevention, fire preparedness, and direct response to fire, improved, and the effect is maintained after 39 days. Theoretical safety education improved fire prevention as well, although its effect weakened after 38 day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and expanding hands-on safety education in unit schools and suggests the necessity for policy changes to strengthen hands-on safety education.
Ⅰ. 서론
Ⅱ. 본문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