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소방안전연구 제5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지역별 119구급대 반응시간 충족 현황과 관련 요인: 85개 시·군·구를 중심으로

Status of 119 Ambulance Response Time Compliance and Associated Factors by Region: Focusing on 85 Si-gun-gu

DOI : 10.54713/JFRI.2024.5.103
  • 18

이 연구는 119구급대 반응시간 현황과 반응시간의 중앙값 충족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2022년에 작성된 구급활동일지를 85개. 시·군·구 단위로 분석하였다 85개 시·군·구 119구급대 반응시간 중앙값은 RTt 37분, RT₁ 10분, RT₂ 1분, RT₃ 15분이었다. RT₁ 중앙값은 7분(부산 동구·울산 동구), 17분(전남 신안군)으로 지역 간 격차가 있었다. RT₁이 9분 이내인 비율도 64.6%(부산 동구), 17.4%(전남 신안군)로 차이가 있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면적당 119구급차수가 많을수록 RT1-9가 9분 이내일 가능성이 높았다(OR=9.160, 95% CI:1.179-91.594). 지역의 면적 당 구급자원 배치 증가를 통해 119구급대 반응시간을 단축하고 지역 간 격차를 줄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mergency activity reports for 2022 from 85 local governments to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ime and median time of emergency events. The median 119 ambulance response times in the 85 cities and counties were 37 minutes RTt, 10 minutes RT₁, 1 minute RT₂, and 15 minutes RT₃. The median RT₁ was 7 minutes (Dong-gu, Busan and Dong-gu, Ulsan) and 17 minutes (Sinan-gun, Jeollanam-do), with disparities between the regions. The proportion of RT₁s met within 9 minutes (RT1-9) was also different, with 64.6% (Dong-gu, Busan) and 17.4% (Sinan-gun, Jeollanam-d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 higher number of 119 ambulances per area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meeting RT1-9 (OR = 9.160, 95% CI:1.179-91.594). The deployment of 119 emergency resources per square meter of area needs to be increased while reducing regional disparities in response tim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연구의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