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동남어문논집 제5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울산지역 상여소리의 음악적 특징

Musical Features of Ulsan Area Sangyeosor

DOI : 10.21654/djkll.2024.58.1.291
  • 15

이 연구는 『부울경·제주지방의 상부소리』, 『한국구비문학대계』, 『울산울주지방민요자료집』, 『한국민요대전』에 소개된 울산지역 상여소리를 대상으로 하여 장례의식에서 연행되는 음악의 특징을 고찰한 글이다. 먼저 울산의 지역 설화 및 의례 절차들을 살펴 지역 장례문화에 내재한 효 의식과 상여소리의 쓰임새를 파악하였다. 이어서 울산지역 상여소리의 현황을 탐색하고 절차에 따른 노래를 오선보로 옮겨 시각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박자, 빠르기, 구성음, 종지음, 음역, 주요 선율형, 받음구, 노랫말 내용을 분석하고 울산지역 상여소리의 음악적 특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장례문화의 전통을 직접 경험한 지역토민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여 울산지역 상여소리의 실체를 조망하였다. 울산사람 생원 송도(宋滔)의 효행은 유가적 문화 기풍 진작과 효 덕목 교화의 모범사례로 평가받으며 지역 장례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울산지역의 상여소리는 유형에 따라 행상어루는소리, 하직소리, 운상소리, 가래소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타지역에서 넓게 분포되어 있는 달구소리가 발견되지 않는 이유가 봉분 과정에서 달구를 사용하지 않은 데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흔하지 않은 받음구인 수기여류를 확인하였으나, 불교적 색채가 더욱 뚜렷하면서도 보편적이라 할 수 있는 가난보살류는 확인되지 않았다. 망자의 탄식, 이별의 슬픔, 후손에 대한 축원이 주를 이루는 노랫말의 곳곳에서 관습적 신앙과 습합 접변을 통한 융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여소리의 음역대는 6~7도이며, 대부분 선후창 방식으로 가창하였다. 선율의 구성음은 미, 솔, 라, 도, (레)이고, 미-라-도(완전4도+단3도)와 라-솔-미(장2도+단3도) 중심으로 상하행하였으며, 대개 미나 라에서 종지하였다. 지역토민이 부른 소박한 노래는 메나리토리의 특성을 파악하기에 모자람이 없었다. 생과 사의 분리의례 속에서 연행되는 상여소리는 현세의 시·공간을 대체하는 또 다른 세계를 상정하고 있다. 망자의 삶을 노정하면서도 내생으로 여겨지는 영적인 세상에서 백자천손의 번창을 염원하는 노랫말은 울산 지역민의 내세관을 잘 보여준다. 울산지역의 상여소리는 이러한 층위에서 상실의 슬픔을 강인한 삶에 대한 의지로 환치시키는 매개 역할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funeral rituals by exploring the music performed during the funeral rituals in Ulsan, South Korea,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original data sites Funeral Songs of the Busan Ulsan Gyeongnam & Jeju, A collection of verbal Korean literature, Ulsan Ulju Local Folk Song Collection, Korean Folk Song Collection. First, we looked at local stories and ritual procedures in Ulsan to understand the sentiments of the local people in Ulsan regarding funerals. Next,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e of Ulsan's Sangyeosori, and transcribed the songs into sheet music to visualize them.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rhythm, speed, constituent sounds, termination sounds, pitch range, major melodic forms, phrases, and song content, and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Ulsan Area Sangyeosori. We interviewed local residents who grew up in Ulsan and experienced the tradition of funeral culture as a community to learn more about the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angyeosori. Songdo's filial piety is revered as a model for the promotion of filial piety culture and the inculcation of the virtue of filial piety, and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funeral culture of Ulsan. We found that Sangyeosori in the Ulsan area were divided into sangyeonorisori, a bier carryingsori, and Karajilsori depending on their nature.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and literature data showed that the reason for the lack of a widespread dalgu song in the nearby area is that Ulsan did not use dalgu. In addition, the chorus of Ulsan Area Sangyeosori, tabulo style and sugiyo style, have a strong Buddhist color, but the gananbosal style, which has a distinctly Buddhist color and is universal, has not been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singing Sangyeosori, yaoleeng, buk and kwaenggwari were used, and the lyrics of the songs were mainly composed of the lamentations of the dead, the grief of the bereaved family, and prayers for the dead and their descendants, and were often improvised to describe the personality, character, and merits of the deceased. Most of them were sung in the way that one person first called and then several people called a fixed chorus, and it was composed of Mi, Sol, La, Do, and Re, and ended in Mi and ra. The range of notes sung is between 4 and 8 degrees, with a distinctive melodic progression Menaritori that descends through the sols(la-sol-mi). In the case of Hoishimgok, which was sung during the Sangyeo carrying process, we find a mix of musical forms popularized by folk singers and local sound habits. I realized that the Ulsan locals' ideas of life after death, as reflected in the song, were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world. The attitude of wishing for the prosperity of their descendants is a reflection of the Ulsan people's view of the afterlife. The Ulsan Area Sangyeosori served as a medium to transform the grief of loss into a strong will to live.

Ⅰ. 서론

Ⅱ. 울산지역 장례문화와 상여소리

Ⅲ. 울산지역 상여소리의 현황과 음악적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