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전략연구 제31권 제3호(통권 제9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중 군사혁신 경쟁과 한국의 군사혁신에 대한 함의

US-China’s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RMA) Competition and Implications for Korea's RMA

DOI : 10.46226/jss.2024.11.31.3.65
  • 26

태평양지역에서 패권을 유지하려는 미국과 도전하는 중국의 군사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세계 안보의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동북아지역의 한·미·일-북·중·러의 대립 구도 형성과 중국·일본의 군사력 팽창, 북·러 군사협력 밀착 , 북핵미사일 고도화 추진 등은 한국 안보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국은 현대전의 변화와 미래전 양상을 고려, 한반도에서의 전장 실상에 맞는 정예 강군 육성을 위한 군사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군사 강국인 미국과 중국의 군사혁신 경쟁을 살펴보고, 한국의 군사혁신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군사혁신과 관련된 용어의 개념을 정립하고, 군사혁신을 구성하는 3요소(작전운용개념, 군사체계 및 조직편성)를 정리하였다. 이론 고찰 후 군사혁신을 주도하는 미국과 중국의 군사혁신 경쟁을 군사혁신 3요소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한국의 군사혁신에 대한 함의를 ‘한국군의 적과 특성에 부합한 작전운용개념’, ‘비대칭 군사체계 발전’, ‘미래전에 적합한 군조직 편성 혁신’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Global security instability is intensifying as military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hich are challenging to maintain hegemony in the Pacific region, intensifies. The formation of a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North Korea, China and Russia in Northeast Asia, the expansion of China and Japan's military power, close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and the promotion of North Korean nuclear missiles are increasing security concerns in South Korea. the South Korean military is required to make revolution of military affairs(RMA) to foster an elite military force that fits the reality of the battlefield on the Korean peninsula, taking into account the changes in modern warfare and future war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MA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hich are military powers that are affecting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Korea's RMA. First, the concept of terms related to RMA was established, and the three elements that constitute RMA(operational oncept, Military system and organization) were summarized. After reviewing the theory, the competition for RMA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hich leads RMA,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ree elements of RMA. Accordingly, the implications for Korea's RMA were presented in terms of 'operational concept in line with the enem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ilitary', 'development of an asymmetric military system', and 'innovation in organizing a military organization suitable for future warfare'.

Ⅰ. 서 론

Ⅱ. 군사혁신의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 분석

Ⅲ. 미·중 군사혁신 경쟁 분석

Ⅳ. 한국의 군사혁신에 대한 함의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