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안사태시 한국의 선택과 대응
Korea’s Choices and Responses in the Taiwan Strait Crisis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전략연구
- 제31권 제2호(통권 제93호)
- : KCI등재
- 2024.07
- 191 - 237 (47 pages)
본 논문은 대만해협위기 (양안사태) 발생시 한국이 고려할 전략적 선택과 대응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먼저 군사에서 경제 및 기술 영역으로 확대된 미중 경쟁의 광범위한 지정학적 맥락을 분석한다. 대만 문제가 두 초 강대국 간의 군사 충돌을 촉발할 잠재적인 발화점으로 강조된다.논문은 시진핑 주석의 지도하에 중국의 전략적 야망을 상세히 설명하며, 2049년까지 세계 최강국이 되겠다는 “중국몽”과 이를 뒷받침 하는 강력한 군사력을 강조한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미국의 대응이 인도-태평양 전략과 같은 조치를 통해 중국의 부상을 저지하는데 집중하고 있음을 언급한다. 시진핑의 군사전략, 해군력확장, 일대일로 정책의 수립 등이 논의된다. 대만의 전략적 고려사항과 대응을 분석하며, 대만의 군사력을 중국과 비교한다. 문서는 대만 침공의 복잡성, 물류문제, 상당한 군사자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위기시 일본의 잠재적 대응도 검토되며, 일본의 전략적 이해와 군사준비상태를 고려한다. 논문에서는 지역안보에 대한 일본의 우려와 대만위기에 대한 대응준비를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초점을 맞춘다. 논문은 한국의 군사 및 경제적 양측면에서 미중 관계를 고려한 전략적 선택을 논한다. 대만 위기가 한반도와 한국의 국가안보 전략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검토한다.
The paper explores the Strategic choices and Responses South Korea might consider in the event of a Taiwan Strait crisis. it begins by analyzing the broader geopolitcal context, particularly the intensifying U.S.-China rivalry, which has expanded from military to economic and technological domains. the Taiwan issue is highlighted as a potential flashpoint that could trigger a military conflict between the two superpowers. The paper details China’s strategic ambitions under Xi Jinping’s leadership, emphasizing the “China Dream” of becoming the world’s leading power by 2049, supported by a robust military. The U.S.response, particularly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been to counter China’s rise through measures like the Indo-Pacipic Strategy. Xi Jinping’s military strategies, including the expansion of China’s naval power and establishmen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re also discussed. The analysis then shifts to taiwan’s strategic considerations and responses, noting its military capabilities compared to china’s. the paper highlights the complexities of a potential Chinese invasion of Taiwan, including logistical challenges and the need for substantial military resources. Japan’s potential responses in a crisis are also examined, considering its strategic interests and military preparations. the document notes japan’s concern’s about regional security and its readiness to respond to a Taiwan crisis. Finally, the focus turns to South Korea. The paper discusses South Korea’s strategic Choices, considering its military and economic ties with both the U.S. and China. the Potential Impact of a Taiwan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are explored.
Ⅰ. 들어가며
Ⅱ. 중국의 전략과 미국의 대응
Ⅲ. 대만의 대응과 선택
Ⅳ. 유사시 일본의 대응
Ⅴ. 양안사태시 한국의 전략적 선택
Ⅵ.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