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태평양사령부의 작전적 중점 : 군수역량 강화·기동성 증대·타격 능력 정밀/신속화 - 동맹·우방국에의 함의
The Operational Focus of US INDOPACOM : Enhancing of Logistical Capability, Mobility·Survivability and Precision-Strike Fires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전략연구
- 제31권 제2호(통권 제93호)
- : KCI등재
- 2024.07
- 383 - 400 (18 pages)
본고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실행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인식 아래, 인도태평양사령부(이하 인태사령부)의 작전적 초점과 행동을 분석하였다. 전구의 주요한 도전으로 중국(PRC)을 지목한 인태사령부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광활성(tyranny of distance)을 전구의 특성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도전과 환경에 대응하여 인태사령부는 다음과 같은 작전적 중점아래 전력을 발전시키고 있다. 첫째, 군수역량 강화다. 인태사령부는 괌 및 마리아나제도, 일본, 필리핀, 호주를 주요 군수 거점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패스웨이 작전(Operation Pathways)을 통해 동맹, 우방 국가와의 군수 역량 발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전력의 기동성 및 생존성 강화다. 미 육군의 다영역임무군(MDTF) 및 태평양공군사의 신속전투배치(ACE) 개념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통합화력네트워크(JFN) 구축으로 대표되는 타격 능력의 정밀/신속화다. 이러한 인태사령부의 작전적 중점은 동맹과 우방국들의 외교안보 정책 방향 설정에 있어 함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operational focus of US Indo-Pacific Command(US INDOPACOM) as index studying the US Indo-Pacific Strategy which is now in the state of action plan. Pointing out People’s Republic of China as one of the key challenges, US INDOPACOM takes into account of so-called ‘tyranny of distance’ as the distinctive feature of Indo-Pacific theater. Facing with the challenges, US INDOPACOM develops its forces with the following operational focus: enhancing its logistical capability, mobility of its forces and precision-strike fires. First, while focusing on Guam/CNMI, Japan, Philippine, Australia as its logistical clusters, the command develops its logistical reach through actions such as Operation Pathways. Second, as the MDTF and the concept of ACE demonstrates, US INDOPACOM makes efforts to improve the mobility and survivality of its forces. Third, as the establishment of JFN demonstrates, US INDOPACOM pays attention to enhancing its capability to fire in a precise and rapid manner. This current operational focus of the Hawaii-based command poses implicatios to the allies and partners of the US.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