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동유럽발칸연구 제48권 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포퓰리즘 정당과 리투아니아의 정당체제

Populist Parties and the Party System in Lithuania

DOI : 10.19170/eebs.2024.48.4.85
  • 7

본 논문은 리투아니아의 포퓰리즘과 포퓰리즘 정당의 영향력을 분석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리투아니아 정당체제의 분극화와 민주화 그리고 포퓰리즘 지수 등을 검토하고, 최근 헝가리, 폴란드 등에서 확산되고 있는 강경한 포퓰리즘이 리투아니아에서도 등장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제2절에서는 리투아니아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준대통령제’의 배경과 내용을 요약하고, 전반적인 정치체제의 특징과 민주주의 발전을 살펴본다. 제3절에서는 리투아니아의 선거제도와 지난 8번의 총선을 요약하고 정당의 유효수와 선거 변역성 등을 시계열로 살펴본다. 제4절에서는 정당과 정당체제의 특징을 파악하고 정당체제의 유형을 구분한다. 제5절 맺음말에서는 2024년 6월 EP 선거와 10월 총선의 결과를 통해서 리투아니아의 정당체제가 분극적 다당제에서 온건한 다당제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pulism and populist parties in Lithuanian party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s the polar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the Lithuanian party system and the populism index, and examines whether populism similar to the hard-line populism that has recently been spreading in Hungary and Poland is emerging in Lithuania. Section 2 summariz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mi-presidential syste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iggest feature of Lithuania,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political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Section 3 summarizes Lithuania's electoral system and the results of the past eight general elections, and examines the effective number of political parties and electoral volatility. Section 4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Lithuanian political parties and party system and distinguishes types of party system. In Section 5, the conclusion confirms that Lithuanian party system has been transitioning from a polarized multi-party system to a moderate multi-party system through the results of the EP election in June and the general election in October 2024.

1. 들어가는 말

2. 리투아니아의 정치체제와 민주화

3. 선거제도와 선거

4. 정당과 정당체제

5. 맺는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