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명연구 제7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과학에서의 의인주의에 대한 조르주 캉길렘의 견해

Georges Canguilhem's Perspective on Anthropomorphism in the Sciences

DOI : 10.17924/solc.2024.74.1
  • 6

본 논문의 목적은 프랑스 철학자 조르주 캉길렘의 의인주의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는 것이다. 캉길렘은 인식론적 단절이라는 가스통 바슐라르의 테제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인식론적 단절 이후 지식이 형성되는 과정에 주목했던 바슐라르와 달리, 캉길렘은 인식론적 단절 이전과 이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문제에 천착했다. 의인주의는 이러한 관계들 중 하나이다. 캉길렘은 의인주의가 지식의 형성에 있어 장애물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과학자인 인간이 생명체인 이상 의인주의적 오류를 범하는 것이 필연적이라 보았다. 진리를 추구하는 과학에 있어 이는 문제적이지만, 그 언어상의 제약 때문에 목적과 오류의 필연성 사이의 부조화를 직시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과학사에서도 이 부조화를 의식하고, 해결하려 했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이 사례를 검토하면 과학자인 인간이 무한한 진리 추구의 기획을 생명체인 인간으로서 정당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iews of French philosopher Georges Canguilhem on anthropomorphism. Canguilhem accepted Gaston Bachelard's thesis of epistemological rupture. However, unlike Bachelard, who focused on the process of knowledge formation after this rupture, Canguilhem concent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 and post-rupture phases. Anthropomorphism is one of these relationships. Canguilhem acknowledged that anthropomorphism is an obstacle to the formation of knowledge, yet he argued that, as living beings, human scientists inevitably commit anthropomorphic errors. While this presents challenges for the pursuit of truth in science, the linguistic constraints often obscure the inherent discord between its purpose and error. Nonetheless, instances in the history of science reveal an awareness of this discord and attempts to address it. Analyzing these cases demonstrates that human scientists justify their pursuit of infinite truth as living beings.

Ⅰ. 들어가는 말

Ⅱ. 인식론적 단절과 의인주의

Ⅲ. 지식의 장애물로서의 의인주의

Ⅳ. 의인주의의 필연성

Ⅴ. 의인주의와 과학의 의미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