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명연구 제7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령 장애인의 지역사회 돌봄서비스 이용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Study on the Experience of Using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DOI : 10.17924/solc.2024.74.45
  • 13

본 연구는 장애와 노화라는 이중 고통을 겪고 있는 고령 장애인의 지역사회 돌봄서비스 이용 경험을 탐색하고, 이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서비스 정책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만 65세 이전에 장애가 발생하여 장애 판정을 받고 15년 이상 경과한 고령 장애인 중 지역사회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7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Creswell(2007)이 제시한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례 간 주제는 ‘돌봄 공백과 건강 위기의 이중고’, ‘배제의 그늘 아래 놓인 돌봄의 장’, ‘돌봄과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회복과 확장’으로 나타났다. 사례 내 주제는 ‘돌봄서비스 축소로 인한 생활의 질 저하와 건강악화’, ‘노화가 남긴 신체적·정신적 흔적’, ‘이차장애의 그늘 아래 무너진 일상’, ‘돌봄 부재 속, 생사의 갈림길에 선 삶’, ‘돌봄서비스의 제도적 한계와 불평등’, ‘돌봄서비스의 비효율성과 장애특성에 대한 이해부족’, ‘장애를 끌어안고 친구처럼 지내기’, ‘평범한 일상에서 느끼는 소소한 행복의 갈망’, ‘받는 돌봄에서 주는 삶으로의 전환’, ‘삶의 쉼터가 되어준 돌봄의 손길’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령 장애인의 장애 유형 및 특성을 반영한 평가제도 도입, 고령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돌봄서비스 제도 개선, 고령 장애인을 위한 통합 돌봄서비스 제도 도입, 그리고 돌봄서비스 제공자의 실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슈퍼비전과 전문적 교육 등의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are living with the dual burden of disability and aging in community care and to explore service policies to improve their lives. They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analyz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 proposed by Creswell(2007).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ross-case analysis between cases in the case studies includes “the double burden of care gaps and health crises”, “care under the shadow of exclusion”, “recovery and expansion of life through care and relationships.” The within-case analysis includes “decline in quality of life and health deterioration due to reduced care services”, “physical and mental traces left by aging”, “collapsed daily life under the shadow of secondary disabilities”, “life at the crossroads of survival amidst the absence of care”,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inequalities in care services”, “inefficiencies in care services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embracing disability and living as a friend with it”, “longing for simple joys in everyday life”, “transitioning from receiving care to leading a giving life”, “the caring hands that became a refuge in lif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ntroduce an assessment system that reflect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mprove the care service system to reflect the need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troduce an integrated care service system for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supervision and professional training to strengthen the practice capabilities of care service provid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