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구 제74집.jp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7447.jpg)
정신장애인의 증상으로 인한 제한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인권 인식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Restriction Caused on by Symptomson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Human Rights Awareness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생명연구
- 제74집
- : KCI등재
- 2024.11
- 77 - 102 (26 pages)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에도 불구하고 개인 내적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참여 요인인 인권 인식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정신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 삶 패널조사 4차 자료 중 정신장애인 26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를 통해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을 확인하고, 자아존중감과 인권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 자아존중감, 인권 인식, 삶의 만족 간 상관성이 유의미하였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 자아존중감, 인권 인식, 삶의 만족 경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인권 인식은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을 낮추어 삶의 만족에 이르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권리 인식에 기반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논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ssess the quality of life, even when a person’s everyday activities are restricted by mental health symptoms. Specifically, tried to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hich is an internal factor of individual, and human rights awareness, which is a factor of social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data of 264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from the fourth data set of the 2021 Korea Disabled Development Institute’s panel on the lif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s of significant variables, as well a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human rights awarenes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s, and the results of the shown be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triction of daily life, self-esteem,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life satisfaction brought on by mental illness symptoms. Second, the restriction of daily life, self-esteem, awareness of human rights, an life satisfaction pathways caused by the symptoms of the mental illness showed significant effects. Finally, self-esteem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y lowering restrictions on daily life due to symptoms. Based on the above results, proposed a discus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mental illn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