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6.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사이코패시 수준에 따른 핵심 특성 차이: 치료적 관점으로

Differences in core feature according to Korean Psychopathy Levels: From a Therapeutic Perspective

DOI : 10.37727/jkdas.2024.26.6.2075
  • 61

본 연구는 국내의 사이코패시 수준을 반영하는 핵심특성에 따라 다른 치료적 개입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높은 사이코패시 수준을 보이는 한국의 범죄자와 사이코패시 수준이 낮은 수형자의 핵심 특성을 비교하여 사이코패스 수형자의 고유한 특징을 탐색하고자 한다. 사이코패시는 PCL-R로 측정되었으며, 절단점은 한국에서 인정되는 25점으로 설정하였다. 전체 수형자 1,102명 중에서 사이코패시 수준이 높은 수형자 315명, 낮은 수형자 787명을 대상으로 R프로그램의 polychoric과 bootnet 패키지 등을 이용하여 사회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이코패시 수준이 높은 수형자에게는 정서성과 대인관계 특성들이 도드라지며, 반사회성 요인에 속하는 어린시절 문제행동과 청소년 비행이 사이코패시 수준이 낮은 수형자에 비해서 높은 중심성을 보인다. 이와 달리 사이코패시 수준이 낮은 수형자에게서 높은 중심성을 보이는 문항은 정서성 요인에 속해있으며, 반사회성에 속한 다양한 범죄이력과 생활양식에 속한 자극추구가 이들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사이코패시 수준에 따른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을 이해하고자 하며, 사이코패시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사이코패스 범죄자를 관리하고 재범을 예방하는 정책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이들을 이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 효율적인 관리를 바탕으로 치료적 관점에서 이들을 바라볼 수 있으며, 대중들의 공포감을 줄이고 지역 사회에서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psychopathic offenders in Korea by comparing them with their lower-level counterpart. Psychopathy was measured using the PCL-R, with the cut-off score set at 25, recognized in Korea as the threshold for psychopathy. Among 1,102 prisoners, Social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against 315 with high-level psychopathy and 787 with low-level psychopathy, using the polychoric and bootnet packages included in R. Prisoners with high-level psychopathy are shown to have been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affective and interpersonal. What is worth noting is that early behavioral problems and juvenile delinquency, which belong to antisociality factor. The items which have high centrality in low-level psychopathy group fall into the affective factor, and the key trait of them boils down to criminal versatility in antisociality factor and need for stimulation in lifestyle facto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help to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psychopathic examination and its validation, understanding high-level psychopathy prisoners based on their traits. Moreover,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policies which monitor criminals and prevent recidivism. Finally, it is expected tha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individuals lead to more effective, efficient management from a therapeutic perspective, potentially reducing public fear and facilitating community-based managemen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