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4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배연창 기준 개선을 위한 한·일 기준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Standards for Improvement of Domestic Natural Smoke Ventilation Standards

DOI : 10.9798/KOSHAM.2024.24.6.11
  • 10

본 연구는 국내 배연창 기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국내의 법 체계와 유사한 일본의 관련 기준을 분석하고 국내 배연창 기준과의 전반적인 차이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본의 건축기준법에서 다루는 배연창 관련 기준을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비교항목은 한·일 양국의 배연창 기준의 변천과정, 설치대상, 설치방법, 설계 및 유지관리 기준이며 이에 대한 차이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규정하고 있는 배연창설치 대상 기준의 재고가 필요하다. 둘째, 배연창 설치 방법 및 재료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다양한 설치 방법 및 불연재료 사용 등을 기준에 명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배연창 설계 시 기존 방화구획에 따른 문제점을 고려하고, 배연창 설치 시 상호 간 수평거리에 대한 기준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유지관리 측면에서 정기 점검항목을 세분화하여 보다 체계적인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ssues in domestic natural smoke ventilation standards and derive improvem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sponding standards in Japan, which has a legal framework similar to that of Korea,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standards for natural smoke ventilation. The natural smoke ventilation-related standards addressed in Japan's Building Standards Act are used for comparison. The criteria for comparison include the evolution of the natural smoke ventilation standards in Korea and Japan, installation targets, installation methods, and design and maintenance guidelines. Based on this compariso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re exists a need to review the current standards regarding the installation targets for natural smoke ventilation. Second, there is a lack of clear guidelines regarding installation methods and materials and this should be addressed by specifying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and the use of noncombustible materials in the standards. Third, when designing a natural smoke ventilation system, the issues related to existing fire compartments must be considered and guidelines regarding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installations must be introduced. Finally, for a systematic inspection and maintenance process, the items under regular inspection should be subdivided into relevant categories.

1. 서 론

2. 한·일 배연창 기준의 비교

3.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