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4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고유형별 빈도 및 작업자 인식 기반 3D Matrix 분석을 통한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기술 도입 우선순위 선정 연구

A Study on Prioritizing the Adop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ies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3D Matrix Analysis Based on Accident Frequency and Worker Perceptions by Accident Type

DOI : 10.9798/KOSHAM.2024.24.6.21
  • 7

건설 산업에서의 다양한 재해의 발생이 지속됨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 안전 장비 및 신기술 도입과 같은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스마트 안전 기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고위험, 다빈도 사고 유형을 파악하고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시급성에 따라 스마트 안전 기술 도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를 활용하여 다빈도 세부 사고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사고 유형에 따라 기술 도입선호 사고 유형과 고위험 인식 사고 유형을 수집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스마트안전 기술 도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3D Matrix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안전 기술의 우선 도입 사고유형은 ‘건축 + 철근콘크리트공사 + 거푸집 떨어짐’ 사고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반한 효율적인 스마트안전 기술 적용을 통해 건설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고의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Efforts are underway to prevent accidents occurr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adopting smart safety equipment and new technologie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mart safety technologies, high-risk, high-frequency accident types at construction sites must be identified and worker feedback must be incorporated to prioritize the adoption of these technologies according to urgency. This study analyzed high-frequency detailed accident types using the Comprehensive Safety Inform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s.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on the preferred accident types for technology adoption, and the accident types were perceived as high risk. Based on these results, three-dimensional matrix analysis was conducted to prioritize the adop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ies. The top priority for adoption was “Architecture + Reinforced Concrete Work + Formwork F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oal is to prevent frequent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by efficiently applying smart safety technologies.

1. 서 론

2. 건설 현장 안전사고 유형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자료 수집 및 연구 방법

3. 건설 사고 유형 우선순위 및 스마트 안전기술 도입을 위한 데이터 분석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