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4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엘니뇨-남방진동, 인도양 쌍극자 모드 지수와 한반도 가뭄지수의 상관성 분석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ElNiño-Southern Oscillation and Indian Ocean Dipole Mode Indices, and Korean Drought Indices

DOI : 10.9798/KOSHAM.2024.24.6.33
  • 12

본 연구의 목적은 엘니뇨-남방진동(ENSO), 인도양 쌍극자 모드(IOD) 지수와 한국 가뭄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국내 관측소별 표준강수지수(SPI)와 6개 ENSO, IOD지수에 대한 피어슨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관성 분석을 통해 ENSO 및 IOD 지수의 국내 가뭄기여도를 판단하고자 하였으며, 전지구적 해양 및 대기 온도의 변화가 국내 가뭄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엘니뇨-남방진동(ENSO), 인도양 쌍극자 모드(IOD)와 국내 가뭄은 약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최소 8개월, 최대 35개월의 선행 지수와 유의적인 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관계수 값의 변화경향을 분석한 결과, 연중 상반기에 높은 상관성이 집중되며, 하반기에는 6개 지수 중 일부만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적 영향 편차를 나타내기 위해 상관성 분석결과를 토대로 그룹화를 진행한 결과, 12개 지점을 위도 및 지형에 따라 그룹화할 수 있으며, 각 그룹별로 상관성의 크기, 지연개월 수에서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The correlation between ocean climate and Korean drought indices is key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droughts in Korea. In this study, ocean climate index data, including El Niño Southern Oscillation (ENSO) and Indian Ocean Dipole (IOD) index values, were subjected to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SPI and ocean climate change are linked, which provides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effect of ENSO and IOD on drought in Korea. However,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observed link was not very large, the correlations ENSO and IOD indices, respectively, and SPI are statistically weak. On analysis of monthly data,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mainly observed from January to May, with very weak correlations from June to December. Based on a regional analysis, twelve cit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similar correlations between the analyzed indices.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상관성 분석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