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4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저류형 투수성 블록의 저류공간 부피에 따른 침투유출 분석

Analysis of Infiltration and Runoff Based on the Volume of Storage Spaces in Storage Permeable Blocks

DOI : 10.9798/KOSHAM.2024.24.6.43
  • 8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강우 사상의 강우량은 증가하며 강우 일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또한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지표 유출량을 증가시키고, 도시 유역의 침수 및 돌발홍수를 일으킨다. 이에 유역 내 물순환 건전화를 위하여 저영향개발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투수성 포장은 도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불투수면을 감소시켜 신도시 및 개발 구역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포장체의 투수계수만으로 성능 평가가 진행되며, 하부 기층을 포함한 투수성 포장 시설 전체에 대한 물순환성능 평가의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수성 블록 중 저류를 위한 공동부를 갖는 결합형 틈새 투수 블록 2종에 대해 동일한 조건에서 공동부 부피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공동부의 크기에 따라 평형 유출량의 70%가 감소하며, 발생 지연 시간 또한 2~2.5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Recent climate change has led to an increase in total rainfall in spite of a decrease in the number of rainy day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impervious surfaces due to urbanization has resulted in greater surface runoff, resulting in urban flooding and flash floods. To address this issue, low-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to improve water cycle health within watersheds. Permeable pavements, which serve as roadways while reducing impervious surfaces, have been introduced in new towns and development zones. However, most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based solely on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pavement, with limited research on the water cycle performance of the entire permeable pavement system, including the subbase lay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orosity storage volume of joint-type permeable blocks with storage spaces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two types of permeable blocks.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the porosity storage volume reduced the equilibrium runoff rate by 70%, and increased the runoff time delay by 2 to 2.5 times.

1. 서 론

2. 연구 목적

3. 실험 대상 및 방법

4. 실험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