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4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도 산간지역의 강우가 하천 홍수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Rainfall in Mountainous Areas of Jeju Island on Stream Flood Discharge

DOI : 10.9798/KOSHAM.2024.24.6.155
  • 6

제주도는 극한 호우 발생 시 하천범람, 내수침수 등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방재성능목표 설정 시 저지대인 해안가 지역에 위치한 ASOS 자료를 이용하고 있어 제주도 지역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고도에 따라 해안 지역, 중산간 지역, 산간 지역으로 구분하여 제주도 하천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발원지 위치가 다른 인접 하천과의 홍수량 비교를 통하여 강우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강우 분석 결과 방재성능목표 대비 24.4~64.0% 증가하였으며, 산간지역의 강우가 하류부의 홍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방재성능목표설정 등 재해 예방을 위한 사업 수행 시 경제성 분석 등을 통하여 합리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Jeju Island frequently suffers significant damage from streams and inland flooding during extreme rainfall events. However, disasterprevention performance targets, often set using ASOS data from low-lying coastal areas, fail to adequately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categorized Jeju Island into coastal, mid-mountain, and mountainous zones based on elevation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probable rainfall amounts for streams across these regions. Additionally, the impact of rainfall was examined by comparing flood volumes between adjacent streams originating from different source loca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rainfall amounts exceeded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targets by 24.4% to 64.0%, with rainfall in mountainous areas having the greatest impact on flood volumes in downstream region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rational solutions through economic and other evaluations when implementing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and setting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targets.

1. 서 론

2. 연구대상지역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및 고찰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