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과 자연재해, 테러와 전쟁이라는 잠재적 위험이 존재하는 국내에는 현재 2만여 개의 대피시설이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이러한 수치와는 달리 대부분의 대피시설은 특별한 구조 설계기준 없이 60 m2 이상의 방송청취가 가능한 지하층의 공간이면 대피시설로 지정될 수 있다. 즉, 유사시 국민을 보호해야 할 대피시설은 행정적 지원과 보호의 기능을 할 수는 있으나 물리적, 생화학적 위협으로부터의 보호 기능은 보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대피시설의 특성상 위험 상황에서 많은 인구가 집중적으로 모이게 될 때 대피시설이 충분한 방호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이는 더 큰 인명 피해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연방비상관리국(FEMA)의 대피시설과 세이프 룸 설계 가이드라인(FEMA 453)을 국내 대피시설 현황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FEMA에서 제시하는 대피 행동요령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위기상황 대처 매뉴얼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려고 한다.
Approximately 20,000 emergency shelters are currently available in South Korea. Owing to the increase in North Korean threats and the frequency of earthquakes,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are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from both the public and professionals. However, most of these facilities have been built without appropriate structural design, owing to a lack of requirements. Underground facilities have certain areas where people can listen to radio broadcasts. This means that emergency shelters can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 and protection, but they do not guarantee citizens’ safety against threats. Moreover, numbers of citizens will congregate at shelters when a state of emergency is declared. However, if the shelters cannot play their roles of protection properly, mass casualty incidents can be expected at the shelters.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FEMA and shelter guidance in Korea. Problems in the domestic emergency manual were noted, and improvement methods were proposed by analyzing FEMA.
1. 서 론
2. 대피소 지정 기준 및 대피 방법
3. 대피소 등급 지정 방법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