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4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물시스템 공급성능을 고려한 도시지역 통합지진위험도평가 및 적용연구

Integrated Earthquake Risk Assessment and Application Study for Urban Areas Considering Water Supply System Performance

DOI : 10.9798/KOSHAM.2024.24.6.297
  • 6

본 연구에서는 중규모 및 대규모 지진에 의한 물공급시설의 수리적 및 수질적 공급 가용성에 대한 도시지역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국내의 A시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리적 가용성의 경우 지진 규모가 커질 경우 피해도가 급격히 커지는 것이 확인 가능하였으나 수질적 가용성의 경우 수리적 가용성에 비해 피해도가 커지지 않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수질적 공급 위험도는 물공급 경로의 극단적 단절상황을 제외하고는 낮게 나타나나, 일정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될 경우 건물위험도, 대피위험도, 화재위험도, 그리고 단수위험도는 일정수준 이상의 위험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질적 공급위험도를 고려할 경우 전체적인 도시지역의 종합지진위험도는 상승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이와 같이 지진위험도 평가 시 모든 인자의 가중치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지역의 특징과 환경을 올바르게 반영하는 것이 아니므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인자별 가중치를 현실적으로 산정하는 과정이 향후 반드시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isk to urban areas due to the hydraulic and water quality availability of water supply facilities caused by medium- and large-scale earthquakes, applied the results to City A in Korea,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m.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amage to hydraulic availability increased rapidly as the earthquake magnitude increased, but the water quality did not deteriorate compared to hydraulic availability. This suggests that the water quality supply risk is low except for extreme interruption in the water supply route. However, if an earthquake of a certain magnitude or greater occurs, the building risk, evacuation risk, fire risk, and water outage risk are at a certain level or higher. When considering the water quality supply risk, the overall comprehensive earthquake risk in urban areas increased. Thus, uniformly applying the weights of all factors in the earthquake risk assessment does not correct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the region, and a process of realistically calculating the weights of each factor through various methods is necessary.

1. 서 론

2. 방법론

3. 적용 및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