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력구의 사용 연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전력구 특성상 점검 및 유지관리가 쉽지 않다. 또한 현행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에는 전력구에 대한 지침이 없으며, 실무에서는 공동구 편을 준용하여 종합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전력구 특성이 반영된 종합성능평가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력구 현장조사를 통하여 전력구 종합성능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내구성 평가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일부 전력구는 높은 이산화탄소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력구 환경 조건에 따라 염이온, 황산이온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전력구 콘크리트의 결함으로는 균열, 박리, 누수 및 철근 노출 등이 조사되었으며, 일부 콘크리트에서는 탄산화 깊이가 피복두께를 상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Recently, the service life of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however, inspection and maintenance are difficul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s. In addition, there are no detailed guidelines for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s regarding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existing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s. In this study, we determine and evaluate the factors influencing dura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s via a field investigation.
1. 서 론
2.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성능평가)
3. 전력구 현장 조사
4. 현장 조사 결과 분석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