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별 가뭄피해이력의 군집특성을 고려한 지자체 별 가뭄 복원력 평가
Evaluation of Drought Resilience by Local Governments Considering the Cluster Characteristics of Drought Damage History by Water Use Type
- 한국방재학회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24권 6호
- : KCI등재
- 2024.12
- 383 - 389 (7 pages)
가뭄의 지역적 피해 경험에 기반한 대응 및 대책의 마련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가뭄피해와 관련된 인자로 국가공인된 국가가뭄정보통계집의 용수특성별(생활, 농업, 공업) 가뭄피해 이력자료를 활용하여 군집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활용하여 가뭄복원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공인된 과거 가뭄피해자료를 기반으로 도출된 지역적 가뭄피해 등급화 자료와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가뭄 복원력 평가를 위한 정성적, 정량적 지표를 병합하여 보다 현실적인 지역적 가뭄 복원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 복원력평가 연구는 가뭄지표에 의한 시간적 변화양상 지역적 복원력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으나, 과거 가뭄피해 경험 등에 있어서 극단적 가뭄을 제외한 용수별 피해이력을 명확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분석결과 용수별 가뭄 피해이력자료가 지역적 가뭄 복원력 평가에 일정수준이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실적 가뭄 복원력 평가 방법론은 가뭄 전주기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This study evaluated drought 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cluster evaluation using drought damage history data from water use (living, agriculture, and industry) from the nationally recognized national drought information statistics collection as factors related to past drought damage. Regional drought damage grading data derived from past drought damage data, as well a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for drought resilience evaluation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were combined to evaluate regional drought resilience. The results confirmed that drought damage history data by water use had a certain level of influence on the regional drought resilience evaluation. A realistic drought resilience evaluation methodology can be used to establish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strategies for an entire drought cycle.
1. 서 론
2. 방법론
3. 적용 및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