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인 과천시를 대상으로 토지 구성요소 변화로 인한 도시지역 내 가뭄 변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SWAT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가뭄 평가를 위해 지하수 함양량 및 유출량 변화를 산정하였다. 토지 구성요소를 변화를 반영하는 매개변수는 지하수함양량에 영향을 미치는 유출계수(Curve Number)와 토양함수율(SOL_AWC), 토양전도도(SOL_K), 상부의 조도계수(OV_N), 저류계수(CANMX)를 선정하였다. 5가지 매개변수를 모두 변화시키면 현재 대비 지하수함양량이 약 3.3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뭄 개선 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지역 불투수 지역인 교통지역과 주거지역에 모두 적용할 경우 약 10.46% 지하수 함양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phenomenon of drought changes in urban areas due to changes in the land components, focusing on Gwacheon City. A SWAT model was constructed, and changes in groundwater recharge and runoff were calculated for drought assessment. The parameters that reflect changes in land components, including the runoff coefficient (Curve Number), soil moisture content (SOL_AWC), soil conductivity (SOL_K), upper roughness coefficient (OV_N), and storage coefficient (CANMX), and affect groundwater recharge, were selected. Changing all five parameters showed that groundwater recharge increased by approximately 3.37% compared with the current level, demonstrating the effect of drought alleviation. Further, when applied to both traffic and residential areas, which are impervious urban areas, the groundwater recharge increased by approximately 10.46%.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