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결정론적 방법으로 제작된 재현빈도별 폭풍해일 해안침수예상도에서 확인할 수 없는 침수발생확률 평가를 위해 부산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해안침수예상도 제작에 사용된 태풍 가상시나리오별 침수 DB를 활용하였다. 폭풍해일로 인한 침수발생확률이 90% 이상인 지역은 해안선을 따라 발생하며 전체 침수면적의 최대 5%에 해당된다. 이외 침수가 발생한 지역 대부분은 침수발생확률이 20% 내외로 나타난다. 침수심이 2.0 m 이상으로 발생할 침수확률은 최대 50% 이하, 침수심이 3.0 m 이상으로 발생할 침수확률은 최대 30% 이하로 평가되었다. 생산된 폭풍해일 침수발생확률 정보는 가상시나리오와 수치모델을 기반으로 한 재현빈도별 해안침수예상도에서 고려하지 못한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강도 변화와 수치모델 오차 등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한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연안지역 침수위험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probability of inundation, which is not provided by deterministic storm surge coastal inundation prediction maps based on return periods. Busan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and an inundation database was constructed using hypothetical typhoon scenarios to create coastal inundation prediction maps. Areas with a storm surge inundation probability of more than 90% were identified along the coastline, accounting for up to 5% of the total inundated area. Most other inundated regions demonstrated an inundation probability of approximately 20%. The probabilities for inundation depths of over 2.0 m and 3.0 m were evaluated to be no more than 50%, and 30%, respectively. The generated probability information for the storm surge inundation can be utilized not only to assess coastal inundation risk, but also in other applications to account for uncertainties due to climate change-induced variations in typhoon intensity and numerical model errors, which are not considered in return period-based coastal inundation prediction maps using hypothetical scenarios and numerical models.
1. 서 론
2. 폭풍해일 해안침수예상도
3. 침수발생확률 평가
4. 평가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