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린이시 ‘중국 농민 수확절’을 위한 브랜드 디자인

Brand Design for Linyi City's Chinese Farmers' Harvest Festival

  • 51
디자인리서치 Vol9, No. 4(통권 33권).jpg

중국의 산업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반대급부로 농촌의 문화와 경제 활력은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중국은 2018년에 '중국 농민 수확절'을 제정하였다. 본 연구는 린이시 ‘중국 농민 수확절’ 축제 브랜드 디자인이 특성이 불명확하고 문화적 상징 표현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문화와 장소애착이론을 핵심으로 설정하여, 브랜드 디자인이 지역문화 상징을 전환함으로써 장소애착을 구축하고, 문화 전파와 감정 연결을 강화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해 축제 브랜드 디자인, 지역문화, 장소애착이론의 특성과 관계를 명확히 하였다. 둘째, 성공적인 축제 브랜드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였다. 셋째, 린이시의 지역문화 특성을 반영한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디자인 방안은 지역문화 표현과 장소애착 구축 측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으며, 축제의 문화 전파와 감정 연결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켰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축제 브랜드 디자인이 지역문화를 전달하고 장소애착을 형성하는 데 있어 축제 브랜드 디자인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As China's industrialization accelerates, rural areas face declining cultural and economic vitality. To address this, the 'Chinese Farmers' Harvest Festival' was established in 2018.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the brand design of Linyi’s Harvest Festival, which lacks distinctiveness and effective cultural symbolism. Guided by place attachment theory and local culture, it explores how brand design can transform regional symbols to establish place attachment and enhance cultural communication. The research includes theoretical analysis of festival brand design, local culture, and place attachment, case studies of six successful festival brands, and the development of a design strategy incorporating Linyi's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design was validated through surveys, showing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ultural representation and emotional connec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festival brand design in transmitting local culture and fostering place attachment, providing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future regional brand innova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사례 연구 및 브랜드 디자인

4.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