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의 UI/UX 디자인이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반려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UI/UX Design of Pet Community Applications on User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Cat Community Mobile Applications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9, No. 4(통권 33권)
-
2024.12522 - 535 (14 pages)
-
DOI : 10.46248/kidrs.2024.4.522
- 53

이 연구는 급성장하는 반려동물 산업에서 반려동물 커뮤니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UI/UX 디자인이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펫프렌즈, 멍냥보감, 비마이펫 세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술 통계, 신뢰도 분석, 그리고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 브랜드 일관성, 피드백 시스템, 인터페이스의 직관성이 사용자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마이펫의 경우 커뮤니티 기능이 사용자 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펫프렌즈와 멍냥보감에서는 사용성과 피드백 시스템이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UI 디자인 일관성을 강화하고 피드백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커뮤니티 기능을 통해 반려동물 소유자 간의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UI/UX design on user satisfaction in pet community mobile applications, focusing on three platforms: PetFriends, MyNyangBokam, and BeMyPet. Using data collected from user surveys, the study employ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valuate how key design and functional elements affect users' emotional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 that brand consistency, feedback systems, and interface intuitiveness are significant factors in user satisfaction across all three applications. For BeMyPet, community functionality was a key driver of satisfaction, while usability and feedback systems were critical factors for PetFriends and MyNyangBokam. The study suggests that enhancing UI design consistency and improving feedback systems are essential for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and promoting community features can help strengthen bonds among pet owners and deepe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e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 사례 분석
4. 반려동물 커뮤니티 사용자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