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디자인을 위한 이미지 생성형 AI 프롬프트 구성요소 사례 연구 - 미드저니와 의자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Prompt Components for Image-Generative AI in Product Design : focusing on Midjourney and Chair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9, No. 4(통권 33권)
-
2024.12780 - 795 (16 pages)
-
DOI : 10.46248/kidrs.2024.4.780
- 145

이미지 생성형 AI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영감을 제공하고, 빠른 시각화로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제품디자인의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이미지 생성형 AI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프롬프트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를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제품디자인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프롬프트 구성요소가 일부 범위에 국한되어 있어, 제품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롬프트 구성요소의 확장과 체계화를 목적으로 이미지 생성형 AI 기반의 제품디자인 사례 중 의자를 중심으로 이미지 및 프롬프트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기능, 대상, 특성 등의 기존에 다루지 않았던 7개의 추가적인 요소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존 프롬프트 구성요소와 통합하여 제품디자인 이미지 생성을 위한 프롬프트 구성요소 체계를 제시하였다.
Image-Generative AI is recognized as a useful tool for product design that provides creative inspiration based on various ideas and improves the design process 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through rapid visualization. In order to generate the desired image through Image- Generative AI, the importance of prompts is emphasized, and it is necessary to clearly grasp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m. However, in the current prior research on product design, the prompt components are limited to some ranges, so it is difficult to comprehensively grasp various factors that can be considered in the product desig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images and prompts centering on chairs among Image-Generative AI-based product design cases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and systematizing prompt components. Through the study, seven additional elements that were not previously covered, such as functions, objects, and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a prompt component system for product design image generation was presented by integrating them with existing prompt components.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이미지 생성형 AI 기반의 제품디자인 이미지 및 프롬프트 사례 연구
4.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