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의 우선순위가 생성형 AI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how the prioritization of prompts affects generative AI images : Focus on examples of generative AI works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9, No. 4(통권 33권)
-
2024.12901 - 910 (10 pages)
-
DOI : 10.46248/kidrs.2024.4.901
- 이용수 186

키워드
초록
생성형 AI는 무한한 잠재력과 창작 능력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것은 활용도의 제한을 의미한다. 때문에 창작자의 의도대로 계획된 작업을 수행하고, 활용도를 높이고자 비교실험을 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프롬프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배열하면 창작자의 의도가 명확히 반영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가설의 사례실험 연구이다. 이미지 생성은 미드저니, 제미나이, 코파일럿을 사용하였다. 앞쪽이 중요한 키워드, 뒤쪽이 중요도가 떨어지는 키워드 순서이며 연구자가 작성한 주제의 부합에 따라 10점을 척도로 평가하였다. 키워드의 우선순위 성공률은 (단일형) 키워드 순위 비교실험 4.5점 : 10점 / (혼합형) 키워드+프롬프트 순위 비교실험 4점 : 10점 / (단일형) 프롬프트 순위 비교실험 6.5점 : 10점이다. 결과적으로 '프롬프트의 우선순위 배열이 명확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가설을 입증하였고 프롬프트의 초기 부분의 정보가 결과물의 명확성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는 생성형 AI를 사용하고자 하는 창작자와 연구자에게 기본지식을 주는 기초자료가 되었다.
Despite its unlimited potential and ability to create, generative AI is limited by its inability to accurately reflect human intent. This limits its usefulness, which is why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mprove its usefulness by performing planned tasks according to the creator's intent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hypothesis that prioritizing and arranging prompts can lead to results that clearly reflect the creator's intent. We used Midjourney, Gemini, and Co-Pilot to generate the images. The keywords were ranked on a 10-point scale, with the most important keywords at the front and the least important at the back, and their alignment with the researcher's topic. The success rate of prioritizing keywords was (single) 4.5 : 10 points for the keyword ranking experiment / (mixed) 4 : 10 points for the keyword + prompt ranking experiment / (single) 6.5 : 10 points for the prompt ranking experiment. The results confirm the hypothesis that the prioritization of prompts leads to clearer results, and that the information in the initial part of the promp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clarity of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basic knowledge for creators and researchers who want to use generative AI.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프롬프트 우선순위에 대한 실험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