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개발과 젠더적 장소의식: 김승옥의 「무진기행」과 김금희의 「너무 한낮의 연애」를 중심으로
Seoul Development and Gendered Sense of Place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3권 4호
- : KCI등재
- 2024.12
- 5 - 34 (30 pages)
일국의 도시 조성 양상에는 국가에서 주력하는 발전의 지향점과 동력의 실체가 반영되어 있다. 때문에 도시 개발의 역사를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작용하는 여러 사회적 장치들과 인적 자원의 향방을 가늠하는 일은 그 사회를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맥락을 보여주는 중요한 도시가 서울이다. 서울은 전후 국가 재건의 핵심 영역으로 상정되어 주요 인적·물적 자원을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방식으로 흡수했다. 이러한 서울 개발 논리는 서울 아닌 지역에 대한 위계적 우위를 당연시하고 사람 사이의 적대감과 분열을 조장해 사회적 연대 의식을 약화해 왔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서울 중심의 도시 개발 역사 속에서 만들어진 젠더적 장소의식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김승옥의 단편소설 「무진기행」(1964)과 김금희의 단편소설 「너무 한낮의 연애」(2015)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두 작품은 불공평한 서울 개발 역사가 상호텍스트적으로 담겨 있고, 차별적으로 젠더화한 장소 의식을 통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무진기행」은 60년대 전반기 도시 개발 시기를 다루면서 서울로 향하는 당대 사람들의 욕망과,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성 배제의 위계 구도를 잘 드러낸다. 「너무 한낮의 연애」는 「무진기행」에서 드러난 60년대식 서울 개발 양상이 반세기 정도 지속되면서 만들어진 부침을 담고 있다. 이 급변 속에서 작가는 남녀의 차별적 젠더 지리학을 뛰어넘어 타자를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긍정할 줄 아는 의식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보여준다.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urban development and the various social devices that are manipulated in the process and the entity that allocates the direction of human resources are important points that can research that society easier. Seoul was considered as a key area of post-war reconstruction in terms of policy. The logic of Seoul's development has weakened the sense of social solidarity by taking for granted hierarchical superiority over non-Seoul regions and encouraging hostility and division between people. This paper examined Kim Seungok's short story “Mujin Travel” and Kim Geumhee's short story “Love in Too Middle of the Day” critically,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ese two works intertextually contain the unfair development history of Seoul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differentially gendered sense of place. “Mujin Travel” covers the urban development period in the first half of the 1960s and clearly shows the desire of the people of the time heading to Seoul an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women’s exclusion that is revealed in this process. “Love in Too Middle of the Day” contains the ups and downs that occurred as the 1960s-style Seoul development pattern revealed in “Mujin Travel” continued for about half a century. In this rapid change, the author shows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of a consciousness that can overcome the gender discriminatory sense of place.
Ⅰ. 도시 개발과 젠더적 장소의식
Ⅱ. 서울의 그림자, 무진에서-김승옥, 「무진기행」(1964)
Ⅲ. 서울의 노스탤지어, 문산에서 - 김금희, 「너무 한낮의 연애」(2015)
Ⅳ. 헤테로토피아적 동연대성을 향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