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순천향인문과학논총 43권 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성지순례와 은총: 말레이시아의 하즈(Hajj)와 바라카(Barakah)에 관한 일 고찰

Pilgrimage to Mecca and Barakah: An Investigation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uslim Pilgrimage and Barakah in Malaysia

DOI : 10.35222/IHSU.2024.43.4.181
  • 12

이 논문은 말레이시아를 주요 사례로 무슬림(Muslim) 성지순례 하즈(Hajj)와 이슬람식 은총 또는 알라(Allah)의 은총과 축복이라는 뜻을 지닌 바라카(Barakah) 이 용어는 알라(Allah)의 은총과 축복이라는 의미의 아랍어 바라카(Barakah)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의 한 측면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첫째, 하즈를 이슬람식 은총 또는 알라의 은총을 뜻하는 바라카의 일부로 간주하고, 바라카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에 대해 검토한다. 둘째, 하즈의 정의와 대상에 대해 그 동기와 목적, 결과 등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을 사회과정(social process)의 일부로 간주하여, 사회과정으로서의 하즈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를 고찰한다. 셋째, 말레이 무슬림들의 하즈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를 바라카와의 관련성 속에서 서술, 분석한다. 이 장에서는 말레이시아를 주된 사례로 하즈와 바라카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에 대한 서술과 분석을 통해 말레이시아 무슬림들에게 하즈와 바라카가 어떠한 특징과 의미를 지니는지를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의 전체 내용을 요약, 정리한 다음, 맺음말에 대신하여 말레이시아의 사례를 통해 하즈와 바라카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가 서로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으며, 그것이 이슬람의 모더니티와는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This paper examines one aspect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Muslim pilgrimage to Mecca (Hajj) and the Islamic concept of Barakah, which means grace or blessing from Allah, with Malaysia as the main case study. To this end, firstly, this paper considers the hajj as part of the Barakah, which means Islamic grace or Allah's grace, and examin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Barakah. Secondly, the definition and subject of Hajj a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motives, purposes, and results, and it is considered as part of a social proces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Hajj as a social process. Thirdl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hajj among the Malay Muslims are describ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the Barakah. In this chapter, through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Haji and Barakah in the context of Malaysia as the main case, I will try to understand wha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Haji and Barakah have for Malaysian Muslim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Finally, I summarized and organized the entire contents of this paper, and then, in lieu of a conclusion, I examined how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Hajj and Barakah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case study of Malaysia, and how they can be interlinked to Islamic modernity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contemporary Malaysia.

Ⅰ. 머리말

Ⅱ. 바라카(Barakah)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

Ⅲ. 사회과정(Social Process)으로서의 하즈

Ⅳ. 사례 연구: 말레이시아의 하즈와 바라카와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Ⅴ. 맺음말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