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을 위한 반복표현 선정과문법 정보 기술에 대한 고찰
An Analysis of Repeated Expression Selection and Grammatical Information Descrip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3권 4호
- : KCI등재
- 2024.12
- 253 - 276 (24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을 위한 반복표현을 선정하고 반복표현을 교수할 때 제공해야 할 문법 정보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반복표현이란 ‘-으랴 -으랴’처럼 동일한 ‘문법형태’가 반복되거나 ‘-는 둥 -는 둥’처럼 ‘문법형태+어휘형태’가 반복하는 덩어리 표현으로서 한국어교육에서 하나의 문법 항목으로 다뤄지는 표현을 의미한다. 한국어교육을 위해 개발된 통합교재 7종을 분석한 결과 모든 교재에 반복표현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는 반복표현이 한국어교육의 문법으로서 자격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각 교재에서 다루는 반복표현이 상이하였으며 이러한 교재 간의 불균형은 한국어교육에서 반복표현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음을 방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반복표현 연구의 첫 단계로서 학습용 반복표현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서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서, 반복표현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반복표현을 교수할 때 학습자에게 제공해야 할 중요한 문법적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 산발적으로 등장하는 반복표현을 체계화함으로써 향후 외국인 학습자에게 반복표현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select repeated express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necessary grammatical information to be provided when teaching these expressions. Repeated expressions, as defined in this study, refer to chunk expressions where either the grammatical form is repeated, such as '-으랴 -으랴', or a combination of grammatical form and lexical form is repeated, such as '-는 둥 -는 둥', which are treated as a single grammatical uni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 analysis of seven integrated textbooks develop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firmed that repeated expressions appear across all textbooks, validating their status as a grammatical category within the curriculum. However, a review of these textbooks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repeated expressions taught and considerable discrepancies in their frequency. This inconsistency among textbooks highlights a gap in the research on repeated express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initial step in addressing this gap, this study has selected repeated expressions suitable for educational purposes. To determine the grammatical items, a thorough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grammar 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xpert opinions from Korean language educators was conducted. Additionally, crucial grammatical information for teaching repeated expressions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bas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grammar 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ior related research. This study aims to systematize the fragmented repeated expressions foun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repeated expressions to foreign learners.
Ⅰ. 연구 목적
Ⅱ. 선행 연구
Ⅲ. 학습용 반복표현 선정
Ⅳ. 반복표현의 문법 정보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