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국사회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마르크스레닌주의 종교이론의 소련지역 토착화과정 연구 : 종교인식과 제반정책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The Soviet Union naturalizaion process research of Marxism-Leninism Religious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ism in one country” : in a focu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wareness and religious policy
마르크스레닌주의 종교이론의 출발은 무엇이고 또 그것은 공산권국가의 맹아인 소련연방에 어떻게 토착화 되었을까?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흐름은 오늘날 러시아연방에서 어떻게 경로의존 되고 있을까? 사실 이 질문들에 대한 연구는 작금의 러시아 종교문제를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연구테마가 되고 있다. 과연 마르크스레닌주의 종교이론이 말하고자 하는것이 무엇이며, 구소련에서 러시아연방으로 이어지는 러시아지역의 종교문제가 어떠한 역사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역대 집권 엘리트들의 종교인식과 종교정책들을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과정이 있다. 첫째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종교이론의형성배경과 중심내용이고, 둘째는 레닌에서 안드로포프까지의 종교인식과 상관 종교정책사례를 연구하는 것이며, 셋째는 미하일 고르바포츠의 페레스트로이카와 그라스노스트 과정에서의 종교인식과 정책변화 그리고 오늘날 러시아연방에서 보여지는 종교문제관련 법안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과거 소련연방과 작금의 러시아연방 종교인식과 종교정책의상관관계를 조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What is the start point of Marxism-Leninism Religious Theory? how has this theory settled down Soviet Union? Moreover How has this historical context made path independence from Soviet Union to recent Russian Union? practically the research of these question are the talk of the issue on recent Russian Religious problems. What are the core contents of Maxism-Leninism Religious Theory? What kinds of historical significance have the religious problems from Soviet Union to recent Russian Union periods had in Russian Area? to consider these questions, there are three research process in this paper. first, to review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core contents of Maxism-Lenism religious Theory. second, to consider religious awareness and reliated policy cases from Lenin to Andropov. Third, to check religious problems from Perestroika and Glasnost to recent Russian union.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wareness and religious policy from Soviet Union to recent Russian Union through these research progress.
Ⅰ. 서론
Ⅱ. 마르크스레닌주의 종교이론의 특징과 종교문제에 대한 제반 입장
Ⅲ. 소련연방 역대정권의 종교사회적 환경변화와 제반 종교정책의 특징
Ⅳ. 체제전환 시기 구소련 종교정책 노선변화와 제반제도의 경로의존성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