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세계지역연구논총 제42집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윤석열 정부의 보훈 정책 - 국가 수호적 보훈 인식을 중심으로

Yoon Suk-yeol Government’s Veterans Policy : Focusing on Veterans’ Awareness to Protect the Nation

DOI : 10.29159/KJAS.42.4.167
  • 16

정부가 바뀔 때마다 국가 보훈에 대한 인식과 정책에는 차이가 발생해 왔으며, 특히 대통령의 보훈에 대한 인식과 의지는 보훈 정책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국가보훈처가 국가보훈부로 승격되면서 보훈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었고, 이는 정부의 상징적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윤석열 대통령의 보훈 정책의 특징, 인식, 그리고 그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윤석열 정부의 보훈 정책은 국가보훈부 승격, 보훈 예산증가, 호국보훈공헌 조성 등을 통해 국가를 위한 희생과 헌신을 예우하고, 조국 수호를 기리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한미 외교 및 안보 관계 강화, 국가 행사에서 나타난 보훈 인식, 그리고 초대 국가보훈부 장관의 보훈 관을 살펴보면, 윤석열 정부는 민족 독립과 민주 발전보다는국가 수호의 가치를 더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국가 수호 중심의 보훈인식으로 인하여 이념적 갈등이 발생하고 더 나아가 정서적 양극화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으로까지 진행되었으며, 이는 민주주의의 후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 특히 홍범도 장군 흉상이전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역사 인식과 보훈 관점은 큰 논란을 일으켰고, 정서적 양극화의원인으로 작용하였다.

The perception and policies regarding national veterans affairs have varied with each change in government, and the president’s understanding and commitment to veterans’ issues have been directly reflected in veterans’ policies. Under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was elevated to a cabinet-level departmen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eterans’ affairs as a symbolic keyword of the governmen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impact of President Yoon’s veterans policies. The Yoon administration’s veterans policies focus on honoring the sacrifices and dedication made for the nation by upgrading the ministry, increasing the veterans’ budget, and establishing a culture of national defense contributions. Examining the Yoon administration’s strengthened diplomatic and security relations with the U.S., its veterans’ awareness shown in national ceremonies, and the views of the first Minister of Veterans Affairs reveals that the Yoon administration prioritizes the value of national defense over national independence and democratic development. This defense-focused veterans’ perspective has led to ideological conflicts, further contributing to emotional polarization, raising concerns about potential democratic regression. Particularly, the Yoon administration’s historical perspective and veterans’ stance on the relocation of General Hong Beom-do’s bust sparked significant controversy and have become a cause of emotional polarization.

Ⅰ. 서론

Ⅱ. 정부 보훈정책의 변화와 정책의 성격

Ⅲ. 안보환경의 조건과 윤석열 정부 보훈 정책

Ⅳ. 보훈 이념의 갈등으로 인한 정서적 양극화의 초래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