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시대에 발달장애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디지털 문해력)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절차는 5단계로 이루어졌으며, 1단계에선 선행문헌과 척도 분석을 통해 척도 구성요인을 범주화하고 초기 문항을 도출하였다. 2단계에선 심층면담을 통해 초기 문항을 보완하고 신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3단계에선 2차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척도의 내용 타당도를 검토하였고, 4단계인 예비조사에선 문항의 이해도와 응답방식을 검토하였다. 5단계는 척도의 타당화 단계로 본조사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문항들을 최종화하였고 구인타당도(모형적합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와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본조사는 전국에서 표집된 총 161명 초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행해졌고, 교사들이 응답한 297명 개별 발달장애 초등학생 원자료에 대해 통계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척도는 ‘발달장애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척도’(DIgital LIteracy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LIS-SDD, 딜리스-에스디디)로 최종 명명되었고 하위요인 8가지와 36개 문항: (1)디지털 기기 조작(5개), (2)디지털 기기 활용(4개), (3)온라인 정보 접근과 활용(9개), (4)디지털 콘텐츠 생성과 활용(4개), (5)디지털 의사소통 능력(4개), (6)규칙 준수(4개), (7)개인정보 보호(4개), (8)저작권 보호(2개)로 구성되었다. 척도의 모형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TLI와 CFI 값은 기준에 근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는 기준을 만족했으며, Cronbach’s α는 .907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학교의 실제 수업참여 맥락을 고려해 발달장애 학생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의 측정 도구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실제 활용방안을 제시한 기여가 주목된다. AI 시대에 가중되는 ‘디지털 격차’를 경험하는 모든 연령의 발달장애인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기초 역량의 현행수준 진단, 교육내용 선정 및 진보 평가를 위한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measuring the digital litera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llowing a systematic five-stage process. First, components of the scale were categorized, and initial items were derived by analyzing published literature and measurement tools. Second, the initial items were refined, and new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rd,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via two sets of Delphi survey. Fourth, a preliminary survey assessed the clarity of items and response formats. Final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ain survey data was conducted to finalize factors and items, evaluating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ain survey involved 161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from 297 element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result, the “DIgital LIteracy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ILIS-SDD) was developed, comprising eight sub-factors with 36 items: digital device operation (five items), digital device utilization (four items), accessing and utilizing online information (nine items), creating and utilizing digital content (four items), digital communication skills (four items), adherence to rules (four items),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ur items), and copyright protection (two items). The scale demonstrated satisfactory fit, with TLI and CFI values near acceptable thresholds, and met criteria for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ith high reliability of .907 Cronbach’s α.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providing a valid and reliable tool enabling teachers to assess and support the digital litera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reover, it offers a timely resource for addressing digital disparities in the AI era by facilitating the diagnosis of foundational digital literacy skills,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and the evaluation of progress for all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