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융합 23.PNG
KCI등재 학술저널

『양택삼요』의 논리구성과 한계

The Logic and Limitations of Yangzhaisanyao

DOI : 10.55793/jkhc.2024.23.81
  • 22

본 연구는 『양택삼요』의 논리구성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현대 건축의 적용가능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더 나아가 이론의 적용과 해석의 차이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한계성을 비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택삼요론은 다양한 논리와 합리성에도 불구하고 여러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나반의 측정위치가 다르고, 주(主)에 대한 해석이 다르며, 조(灶)에 대해서도 다른 기준이적용되고 있다. 출생연도를 적용하고 있으나, 단지 남녀만을 구분하고 있어차별성을 찾을 수 없다. 양균송과 조정동에 의해 양택삼요론이 제시될 때와 현대의 주택구조와 특징은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중국과 한국의 주택구조와 공간구성은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적인 모습을 도외시한 채 현대주택에 적용하는 것은 처음부터 한계성을 보일 수밖에 없다. 시대의 변화에 따른 주택구조의 변화는 당연한 것이지만, 시대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풍수이론을 제시하지 못한 것은 전적으로 풍수인들이 해결해야할 과제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logic of Yangzhaisanyao and the applicability of modern architecture. Furthermore, the objective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pplication of theory and interpretation, and to criticize the limitations. Despite its various logic and rationality, Yangtaeksamyoron has many limitations. Defferent locations of measurement of the Fengshui compass(羅盤),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main space(主), and different criteria are applied to the kitchen(灶). The year of birth is applied, but only men and women are distinguished and thus no distinction can be fou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modern housing structure and features when Yangtagsamyoron is presented by Yang Jun-song(楊筠松) and Zhao Ting Dong(趙廷棟). And china’s housing structure and korea’s housing structure spatial composition look totally different. The application of this characteristic to modern housing, while neglecting it, is bound to show limitations from the beginning. Changes in the housing structure following the changes of the times are natural, but the failure to present a theory of Feng Shui to actively cop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must be a task entirely for the Feng Shui people to solve.

1. 머리말

2. 구궁도와 공간구성의 원리

3. 『양택삼요』의 논리구성과 팔택론의 진화

4. 『양택삼요』의 활용과 한계성 비판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