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수산1.PNG
학술저널

수소 인프라의 해양환경적 영향 고찰

Consideration on the Marine Environmental Impact of Hydrogen Infrastructure

DOI : 10.22714/SFO.2024.33.1.1
  • 6

본 연구에서는 해외사례를 토대로 수소의 생산, 저장, 운반, 활용과 같은 전 주기적 관점에서의 환경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생산되는 그린수소가 가장 친환경적이며, 가스관을 이용하여 수소를 공급하는 것이 환경적 측면에서 유리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수소 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소 활용에서는 청정에너지원의 공급이 중요하며 NOx의 배출 증가와 같은 추가적인 환경문제도 발생한다. 국내의 실정을 고려할 때, 항만을 중심으로 수소 인프라가 조성될 것이며 이에 따른 해안역의 환경적 영향도 예상된다. 따라서 선제적으로 항만 도시별 수소 인프라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영향저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nvironmental impacts from a full-cycle perspective such as production, storage, transportation, and utilization of hydrogen based on overseas cases. Green hydrogen produced using renewable energy is the mos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pplying hydrogen through gas pipelines is environmentally advantageous. The use of hydrogen is expected to increase in various fields, and the supply of clean energy sources is important in hydrogen utilization, and addi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increased NOx emissions also occur.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hydrogen infrastructure will be built centered on ports, resulting in environmental impact on coastal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emptively prepare environmental impact mitigation measur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n infrastructure in each port city.

서 론

해외 수소 발전 현황

수소 생산의 환경적 영향

수소 저장 및 운반의 환경적 영향

수소 활용의 환경적 영향

수소의 사회환경적 영향

결론 및 고찰

요 약

사 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