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근대 중국의 문예담론을 총괄할 대표 ‘소설총론’ 으로서의 정립 가능성 검토 - 管達如의 「說小說」·呂思勉의 「小說叢話」를 대상으로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a representing the “A general theory of Novel” that will oversee the discourse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 Based on Guan, Da-Ru’s 「Shuo xiaoshuo(說小說)」 and Lü, Si-Mian’s 「Xiaoshuo conghua(小說叢話)」

  • 10
중국인문과학 제88집.jpg

본 논문은 근대 중국의 시대 가치로부터 소설의 재발견이 시작된 이래, 소설에 관한 일련의 논의가 이어지면서 형성된 문예 담론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근대 중국의 문예담론을 총괄할 대표 ‘소설총론’으로서의 정립 가능성을 검토하는 작업이다. 이에 일본의 대표적인 근대 문예이론 저작인 『소설신수(小說神髓)』의 논제들과 비견될 중국의 소설 논문으로 관달여(管達如)의 「설소설(說小說)」·여사면(呂思勉)의 「소설총화(小說叢話)」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管·呂 논문의 주요 논제들을 고찰하였다. 먼저 「說小說」·「小說叢話」 간의 논의 범주를 비교한 뒤 참고로 『小說神髓』와의 논제 검토를 병행하였다. 이어서 關·呂 두 논문의 주요 논제 즉, 소설의 본질, 유형화, 창작과 관련한 논의를 분석하며 기존 담론의 단편적 시각의 총괄 및 한계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끝으로, ‘중국근대소설총론’으로서 「小說叢話」의 위상과 의의에 대해 조명하며 글을 마무리하였다.

This paper is part of a study on the literary discourse of this period, which was shaped by a series of discussions on the novel after the rediscovery of the novel from the values of the times in modern China.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representative 'general theory of the novel' to oversee the literary discourse of modern China amidst a series of discussions to build a modern Chinese literary theory.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theses of Guan, Da-Ru and Lü, Si-Mian's theses, using 『Shosetsu Shinzui(小說神髓)』 as a representative modern literary theory work in Japan, and Guan Da-Ru(管達如)'s 「Shuo xiaoshuo(說小說」 and Lü, Si-Mian(呂思勉)'s 「Xiaoshuo conghua(小說叢話)」 as comparable Chinese fiction theses. First, we compare the categories of discussion between 「Shuo xiaoshuo(說小說)」 and 「Xiaoshuo conghua(小說叢話)」, and then examine the themes of 『Shosetsu Shinzui(小說神髓)』 for reference. The main themes of both Guan, Da-Ru and Lü, Si-Mian's papers, namely the nature, typology, and creation of the novel, are then analyzed in terms of the synthesi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iscourse. In conclusion, the paper discusses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Shuo xiaoshuo(說小說)」, 「Xiaoshuo conghua(小說叢話)」 as a comprehensive theory of modern Chinese fiction.

Ⅰ. 들어가며

Ⅱ. 근대 중국의 문예 담론을 총괄할 管·呂의 소설 논문 검토

Ⅲ. 나오며: ‘중국근대소설총론’으로서 「小說叢話」(呂思勉)의 의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