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문화연구 제92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광개토왕릉비 무훈기사의 서술항목과 서사구조

Descriptive Items and Narrative Structure of Military Merit Articles in Gwanggaeto Royal Tomb Monument

DOI : 10.18347/hufshis.2024.92.3
  • 5

이 논문은 광개토왕릉비 무훈기사의 서사구조를 고찰한 것이다. 무훈기사는 연대기 무훈기사 8개조, 신묘년조, 전과 총계 등 10개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연대기 무훈기사의 서술 항목은 ⓐ연도, ⓑ출정 배경, ⓒ무훈 총괄문, ⓓ진군 경로, ⓔ전쟁의 경과와 전과, ⓕ태왕의 은전, ⓖ개선, ⓗ부가 사항 등 8개로 분류된다. 각 연대기 무훈기사의 항목 구성은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서언과 본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항목의 기술 순서도 동일하다. 특히 기본 항목인 연도, 무훈 총괄문, 전쟁의 경과와 전과는 모든 기사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각 연대기 무훈기사는 완결적인 서술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독자적인 위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능비 찬자는 각 방면의 군사 활동을 통합하여 특정 무훈기사에 서술했으며, 사건의 발생 연도를 조정하고 서술 내용을 윤색하기도 했다. 그런데 태왕의 은전은 고구려 천하질서에 속한 대상에만 내려진 반면, 64성과 1,400촌이라는 전과의 총계는 이들을 제외한 정토 대상의 전과만 합산했다. 능비 찬자가 군사 활동을 중심으로 무훈기사를 작성했지만, 찬술의 주안점은 고구려 천하질서에 두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각 무훈기사의 성격과 위상은 고구려 천하질서와 연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각 무훈기사가 고구려 천하질서를 상정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 다각도로 고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military merit records in Gwanggaeto Royal Tomb Monument. The military merit records are composed of 10 sections, including 8 articles of the chronicle of the military merit records, an article of the Sinmyo Year, and a total article of warfare result. Among them, the descriptive items of the chronicle of military merit records are categorized into eight groups: ⓐ year, ⓑ background of the war, ⓒ general statement of military merit, ⓓ marching route, ⓔ progress of the war and warfare results, ⓕ king's favors, ⓖ returning in triumph, and ⓗ addition. The composition of an item in each chronicle article is slightly different, but they all have a preface and body, and the descriptive order of the entries is the same. In particular, the basic elements of the entry - the year, the general statement of military merit, the progress of the war and warfare results - are common to all articles. Each military merit article has a complete descriptive structure and stands on its own. The inscription's author consolidated the military activities of each branch into a specific year's account, adjusting the year of the event and coloring the descriptive contents. However, the king's gracious favors were only granted to those who belonged to the Goguryeo heavenly order, while the total of the war results of 64 castles and 1,400 villages was only the sum of the war results of the conquered targets excluding them. Although the author of the inscription centered on military activities, the main focus of the narrative was on the Goguryeo heavenly ord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racter and status of each military merit article in relation to the Goguryeo heavenly order.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ole that each military merit article plays in envisioning the Goguryeo heavenly order in various ways.

Ⅰ. 머리말

Ⅱ. 연대기 무훈기사의 서술 내용

Ⅲ. 연대기 무훈기사의 항목 구성

Ⅳ. 무훈기사의 위상과 서사구조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