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은 고려인 이주 160주년이 되는 해이다. 160여 년 전 두만강을 넘어 연해주로 이주한 이래 스스로를 ‘고려사람’이라고 불렀던 한인 디아스포라들의 이주의 역사는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현재 한국으로 이주하는 고려사람들이 늘어났고, 이들은 한국 내에서 밀집 거주지를 형성하고 있다. 국내에 형성되고 있는 고려사람 밀집거주지들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곳과 관 주도로 만들어진 곳, 그리고 민간 NGO의 주도하에 형성된 곳, 이렇게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고려사람 이주사의 맥락 속에서 한국으로 유입되는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무엇보다 민간 주도로 형성된 광주 <고려인마을> 공동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광주 <고려인마을>의 설립자들과 핵심적인 운영진들의 활동과 공동체 운영 방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난 20여 년 동안의 <고려인마을>의 발전 양상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광주 <고려인마을> 발전의 첫 단계는 전국 최초로, 2013년에 ‘고려인 주민 지원 조례’를 제정하여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것이었다. 두 번째 단계로는 2017년 고려인 강제이주 80주년 행사를 치르며, 선주민들과 상호이해의 토대 위에 동행하게 된 것이었다. 마지막 단계로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 고려인들 약 900명에게 항공권을 제공해 이들을 광주로 데려온 것이었다. 이를 계기로 <고려인마을>의 동포애와 인권 의식, 단합된 힘을 보여줄 수 있었으며, 그 결과 <고려인마을>의 인지도가 올라가고, 마을 공동체가 확장될 수 있었다.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 <고려인마을>은 일자리 부족과 같은 경제적 난관과 여전히 고려사람들을 대하는 선주민들의 차별적 시선, 그리고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국적 취득의 장애, 즉 제도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난제들을 잘 해결하고 광주 <고려인마을>이 성공한 공동체로 뿌리내릴 수 있다면, 고려인만이 아니라 이주민들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24 marks the 160th anniversary of the migration of the ‘Koryein’. The history of this Korean diaspora, who called themselves as “Koryo-Saram” since they crossed Tumen River and migrated to Primorsky Krai about 160 years ago, continues to this day. Recently, the number of Koryo-Saram immigrating to South Korea has increased, and they are forming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areas within the country. These area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ose formed naturally, those established under the government leadership, and those created under the leadership of private NGOs.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yo-Saram migration to South Korea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their migration history.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Gwangju <Koryein Village> community, which was established under the private leadership. Specifically, this article explores the activities of the founders and core executives of <Koryein Village>, as well as their community management philosophy. And it analyzes its development over the past 20 years, dividing it into three distinct stages. The first step was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foundation by enacting the ‘Koryein Resident Support Ordinance’ in 2013, a first in the country. The second was marked by the commemoration of the 80th anniversary of the forced migration of Koryo-Saram in 2017, fostering mutual understanding with the Gwangju local people. The final step was to provide airline tickets to approximately 900 Koryo-Saram refugees from the Ukrainian war in 2022, bringing them to Gwangju. This was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e solidarity, human rights awareness, and collective strength of <Koryein Village>. Consequently, the awareness of <Koryein Village> grew, and the community expanded significantly. Despite this progress, the current <Koryein Village> is experiencing economic difficulties such as a lack of job opportunities, discriminatory views of the local people toward the Koryo-Saram, and, most importantly, obstacles to acquiring nationality, that is, institutional difficulties. If these challenges can be resolved well and Gwangju <Koryein Village> can take root as a successful community, it can become a standard for successful settlement not only for Koryo-Saram community but also for other immigrant communities.
Ⅰ. 머리말
Ⅱ. 고려사람의 한국으로의 유입 배경
Ⅲ. 광주 <고려인마을>의 인프라 형성
Ⅳ. 광주 <고려인마을> 공동체의 단계별 발전
Ⅴ. 광주 <고려인마을>의 한계
Ⅵ. 맺음말